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히아신스

다른 표기 언어 hyacinth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히아신스속
원산지 중동 (터키), 아프리카, 유럽 (네덜란드)
서식지 목초지
크기 약 20cm ~ 35cm
학명 Hyacinthus orientalis L.
꽃말 겸양한 사랑, 유희

요약 백합과 히아신스속에 속하는 구근식물. 주원산지는 지중해지역과 아프리카 열대지역이다. 목초지에 분포하며 크기는 약 20~30cm에 이른다. 알뿌리는 달걀 모양의 비늘줄기로 겉이 흑갈색이며 길이는 약 3cm이다. 대부분의 종은 식물체 아래쪽에 톱니가 없는 좁은 잎이 달린다. 향기가 진한 꽃은 대개 푸른색이지만 분홍색·흰색 또는 다른 색을 띠는 재배변종도 있다. 꽃은 잎이 없는 줄기 끝에 무리지어 피며 각각의 꽃자루 아래에 작은 포가 달린다. 꽃에서 오일을 채취하여 향료로 쓰인다.

난|히아신스

ⓒ WIKIMEDIA COMMONS (Nonie) | cc-by

개요

백합과 히아신스속에 속하는 관상용 식물 구근식물. 학명은 Hyacinthus orientalis L.이다. 히아신스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미소년 히아킨토스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원산지 소아시아에서 1576년 네덜란드인에 의해 유럽에 소개된 후 많은 원예품종이 탄생했다. 유럽 사람들은 히아신스를 매우 좋아했고, 18세기 초에 2,000종 이상의 변종을 만들어냈다. 한반도에는 1912~1926년 사이에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형태

크기는 약 20~30cm에 이른다. 알뿌리는 달걀 모양의 비늘줄기로 겉이 흑갈색이며 길이는 약 3cm이다. 대부분의 종은 식물체 아래쪽에 톱니가 없는 좁은 잎이 달린다. 향기가 진한 꽃은 대개 푸른색이지만 분홍색·흰색 또는 다른 색을 띠는 재배변종도 있다. 꽃은 잎이 없는 줄기 끝에 무리 지어 피며 각각의 꽃자루 아래에 작은 포가 달린다.

종류

히아신스속은 약 30종의 비늘줄기를 가진 풀로 이루어져 있다. 히아신스는 크게 네덜라드에서 개량된 덧취(Dutch) 계통과 프랑스에서 개량된 로만(Roman) 계통으로 나뉜다. 원예에서 말하는 히아신스는 보통 덧취 계통을 지칭하며, 현재도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재배방법

관상용, 온실용, 선물용으로 쓰기 위해 재배하고 있다. 수경재배도 많이 하고, 흙에 심더라도 모래를 많이 섞어 물빠짐을 좋게 하는 것이 좋다. 수경재배를 할 때는 뿌리만 물에 닿게 하고 물을 자주 갈아준다. 여름이 휴면기이므로 캐내어 보관했다가 가을에 다시 심는다. 그래서 가을에 심는 추식구근식물이라고 한다. 구근을 키우기 위해서는 꽃이 지면 꽃대를 잘라주는 것이 좋다. 씨앗을 맺으면 구근으로 갈 영양을 뺏기게 되어 파종한 후에 꽃을 보기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히아신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