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후두염에는 단순후두염·만성후두염·후두디프테리아·결핵성후두염·매독성후두염이 있다. 단순후두염은 감기나 이와 비슷한 감염과 연관이 있으나, 염소 가스·증기·이산화황 등과 같은 비세균 물질도 심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후두덮개가 붓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며 후두가 막혀 질식될 수도 있다. 만성후두염은 심한 흡연·음주나 성대를 무리하게 사용한 결과로 생긴다. 이때 점막은 건조해지며 점막표면에서 돋아나는 작은 조직덩어리인 용종으로 뒤덮인다. 후두디프테리아는 인두 위쪽에서 아래쪽까지 디프테리아균이 퍼져 생기는 염증이다. 결핵성후두염은 처음 결핵이 감염된 장소인 폐로부터 퍼져 생기는 2차감염이다. 후두조직에 결핵성 결절과 비슷한 형태가 생긴다. 매독성후두염은 매독의 합병증 중 하나이다.
후두염에는 단순후두염·후두디프테리아·결핵성후두염·매독성후두염이 있다.
단순후두염은 보통 감기나 이와 비슷한 감염과 연관이 있으나, 염소 가스·증기·이산화황 등과 같은 비세균 물질도 심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주로 후두의 안쪽을 덮고 있는 점막이 먼저 감염된다. 점막은 붓고 충혈되며 진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고 많은 염증세포들이 들어 있다. 음식물을 삼킬 때 후두를 닫아주는 후두덮개가 붓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며 후두가 막혀 질식될 수도 있다. 만성후두염은 심한 흡연·음주나 성대를 무리하게 사용한 결과로 생긴다. 이때 점막은 건조해지며 점막표면에서 돋아나는 작은 조직덩어리인 용종으로 뒤덮인다. 후두벽은 두꺼워지고 염증상태가 된다.
후두디프테리아는 인두 위쪽에서 아래쪽까지 디프테리아균이 퍼져 생기는 염증이다. 백혈구막·피브린(혈액응고 단백질) 및 병든 피부세포들이 점막에 부착되거나 점막 표면을 파고들기도 한다. 이러한 가성막의 느슨한 부분이 떨어져내려와 성대에 응축되면 폐색을 일으킨다. 연쇄상구균 감염에서도 막으로 덮히는 비슷한 형태가 나타난다.
결핵성후두염은 처음 결핵이 감염된 장소인 폐로부터 퍼져 생기는 2차감염이다. 후두조직에 결핵성 결절과 비슷한 형태가 생긴다. 조직을 감염시키고 나면 세균은 죽고 표면에는 궤양이 남으며 뒤이어 후두덮개와 후두연골의 파괴가 있을 수 있다.
매독성후두염은 매독의 합병증 중 하나이다. 2기매독에는 궤양이나 점막반들이 생길 수 있고, 3기매독으로 병이 진전되면서 파괴된 조직이 치유가 되고 상흔이 생긴다. 이 상처 때문에 후두의 모양이 변화되고 성대가 짧아지며 목소리가 영구적으로 쉬게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