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황해북도

다른 표기 언어 黃海北道
요약 테이블
위치 한반도 중부 내륙
인구 2,113,672 (2008)
면적 8,153.7㎢
행정구역 2개시 14개군

요약 한반도 중부 내륙에 자리한 도.

동쪽은 강원도(북한), 서쪽은 황해남도, 남쪽은 개성직할시, 북쪽은 평안남도와 접해 있으며, 북서쪽은 평양특별시 및 남포직할시와 접해 있다. 행정구역은 사리원시와 송림시 2개시, 곡산군·금천군·인산군·봉산군·서흥군·수안군·신평군·연산군·연탄군·은파군·신계군·평산군·토산군·황주군 등 14개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소재지는 사리원시이다(2002). 면적 8,153.7㎢, 인구 2,113,672(2008).

황해북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본래 고조선에 속했으나 BC 108년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진번군에 속했다가 대방군으로 대체되었으며, 314년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668년 고구려 멸망 후 한때 당의 안동도호부에 속했으나 676년 신라의 영토가 되고, 901년 궁예가 세운 후고구려의 영토에 속했다가 918년 고려에 통합되었다.

995년 전국을 10개 도로 나눌 때 관내도라 했으며 그뒤 서해도로 개칭되었다. 1270년 자비산 이북 땅이 원의 동녕부에 속했다가 1290년 수복되었으며, 조선 태조대에 풍해도라고 했다가 1417년 황해도로 개칭하고 해주에 관찰사를 두었다. 1895년 도를 폐지하고 23부로 개편할 때 해주부에 속했다가 1896년 13도로 개편하면서 다시 황해도가 되었다.

8·15해방 당시의 행정구역은 해주시·사리원시·송림시와 벽성군·옹진군·장연군·송화군·은율군·안악군·신천군·재령군·황주군·봉산군·서흥군·수안군·신제군·곡산군·금천군·평산군·연백군 등 3개시 17개군 8개읍 185개면이었으나, 경기도의 38°선 이북지역인 장단군과 개풍군을 편입하여 장풍군을 신설했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 때 평산군의 일부로 평천군을, 곡산군의 일부로 신평군을, 수안군의 북부로 연산군을 신설했다. 또한 봉산군의 남부로 은파군을, 황주군의 동부로 연탄군을 신설했으며, 서흥군 남서부를 분리하여 인산군을 신설하고 금천군 동북부로 토산군을 신설했다.

1954년 황해도를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할 때 황해북도가 되었다. 경기도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인 개풍군·판문군을 편입했다가, 1955년 개풍군·판문군을 개성직할시에 넘겨주었으며, 1961년 장풍군을 분리하여 개성직할시에 편입시켰다.

자연환경

한반도의 서북산악지대로부터 서부해안지대로 이어지는 분지에 자리잡고 있어 북동부 및 동부지역은 높고 서부와 남서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며, 전반적으로 저산성 산지를 이룬다.

따라서 높이 1,000m 이상 되는 지역은 1.5%에 불과하며 500m 이하의 지역이 91.1%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북대봉산맥의 남단이 강동산맥으로 이어지는 북쪽 경계에는 하람산(1,485m)·백산(1,242m)·서백년산(1,219m) 등이 솟아 있다. 동부는 아호비령산맥이 남북으로 뻗어내려 천을봉(1,209m)·육판덕산(1,323m)·백년산(1,340m)·선바위산(1,106m)·덕업산(1,017m)·대초봉(827m)·고주애산(703m) 등이 솟아 있다.

그밖에 중부와 남부에는 언진산맥·정방산맥·멸악산맥·천마산맥이 동서 또는 북동-남서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이곳에 대각산(1,278m)·언진산(1,120m)·시루봉(879m)·오봉산(774m)·전주산(652m)·자비산(691m)·정방산(418m)·멸악산(818m)·주지봉(713m)·수룡산(716m)·재석산(749m) 등이 솟아 있다. 하천은 북서부 경계를 흐르는 대동강과 그 지류인 재령강·남강·황주천·매상강 등과 동부를 흐르는 예성강 등이 있다.

재령강은 황해남도 신원군 평풍산에서 발원하여 은파천·서흥강 등의 지류와 합류하여 황해남도와의 경계를 이루면서 대동강에 유입한다. 남강은 평안남도 양덕군 가사산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곡산천·두무강 등의 지류와 합류하여 평양특별시로 흘러간다. 예성강은 지석천·구연천·누천 등의 지류와 합류하여 경기만으로 흘러든다.

그밖에 임진강이 동부 토산군과 강원도(북한)의 경계지역을 흐르고 있다.

도내에는 북한 최대의 관개 저수지인 은파호·서흥호를 비롯하여 신곡저수지·연탄호·안창저수지 등이 있으며, 주요하천과 함께 관개용수원뿐만 아니라 공업용수·전력·상수도원·하운 등에 이용되고 있다. 도의 서부지역인 황주군 일대에는 황주평야, 재령강 연안에는 재령평야, 서흥강 하류에는 서흥평야가 있다.

동부 신계·곡산 일대에도 평균높이 180m, 면적 530㎢의 현무암대지인 신계곡산평야가 있으며, 예성강 유역인 평산·금천 일대에도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특히 예성강은 유역면적의 76.3%가 이 도에 속하며, 도내에서 규모가 제일 크다. 지질은 시생대층, 상부원생대층, 하부고생대층, 중부고생대층, 중생대층, 신생대 제3기층 및 제4기층으로 이루어졌으며, 기반암은 흑운모편암·석영·운모편암·결정질편암·석회암·고회암·대리암·천매암·녹색편암·점판암·역암·화강암·석영반암·화강반암 등이다.

토양은 멸악산맥을 경계로 북부지역에는 갈색삼림토, 남부지역에는 적갈색삼림토가 수평으로 분포하며, 그밖에 포드졸성갈색삼림토·충적토 등도 분포한다. 기후는 대륙성기후 지역으로서 연평균기온은 지역별로 송림 10.4℃, 은파 10.2℃, 사리원·봉산 10.1℃, 수안 8.7℃, 신평 9.2℃이며, 1월평균기온은 지역별로 송림 -7℃, 은파 -7.3℃, 사리원 -6.8℃, 봉산 -7.0℃, 수안 -8.7℃, 신평 -7.5℃이다.

8월평균기온은 지역별로 송림 25℃, 은파 24.9℃, 사리원 24.8℃, 봉산 25℃, 수안 23.7℃, 신평 23.6℃이다. 연평균강수량은 900~1,400㎜로 북서평야지대는 강수량이 적고 북동산간지대는 많이 내려 지역적 차이가 심하다. 여름에는 멸악산맥 동쪽의 예성강 계곡을 따라 강한 태풍이 불며, 첫서리는 대부분 지역에서 10월 중순경에 내리고 마지막 서리는 4월 중순경에 내린다.

산림은 온대북부활엽수림대와 온대남부활엽수림대의 점이지대로서 산림면적이 도면적의 66%를 차지한다.

그중 침엽수림 40%, 활엽수림 60%로서 식물상이 비교적 다양하다. 주요수종은 가문비나무·분비나무·들쭉나무 등의 한대성식물부터 으름덩굴·서어나무·감나무 등의 아열대식물까지 자라며, 검팽나무·피뿌리꽃·솔인진·백리향·황목련 등 우리나라 특유 식물이 분포한다. 그밖에 잣나무·젓나무·피나무·밤나무 등과 머루·다래·오미자·고사리·두릅 등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산림지대는 830여 종(種)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동물은 범·멧돼지·노루·살쾡이·너구리·오소리·꿩 등이다.

또한 하천에는 수십 여 종의 어류가 서식한다. 특히 예성강에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쒜리·어름치가 서식하는데, 서흥군탑동산식물보호구·인산군멸악산식물보호구를 비롯해서 자비산동물보호구·대각산동물보호구·수룡산동물보호구·인산군크낙새보호구 등이 설정되어 있다.

산업과 교통

북한에서 농업과 공업이 함께 발달한 지역이다.

농업은 곡물생산을 위주로 축산·과수·양잠 등이 발달했다. 총경지면적은 도면적의 24%이고 그 가운데 논이 약 25%를 차지한다. 주요농산물 가운데 쌀과 옥수수는 도내 전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쌀은 황주군·봉산군·은파군·신계군·금천군·토산군·평산군 등 재령강 유역과 예성강 유역의 평야지대에서 많이 생산된다. 옥수수는 북한 전체 파종면적의 16%를 차지하여 평안남·북도와 더불어 옥수수의 주산지이며, 주로 황주군·서흥군·신계군·수안군·곡산군·인산군 등에서 생산된다.

밀과 보리는 서부평야지대와 멸악산맥 남부지대인 금천·평산 지역에서 2모작으로 재배되며, 고구마는 금천군·토산군 일대와 황주군·봉산군·은파군에서 생산된다. 콩은 도내 모든 지역에서 주작 또는 간작으로 많이 재배한다. 잎담배는 인산군·서흥군·금천군·토산군에서 많이 재배하며, 대마는 신평군·수안군·곡산군 등 산간내륙에서 집중적으로 재배한다. 그밖에 유채는 은파군·인산군·금천군에서, 깨와 박하는 황주군·연탄군에서 많이 생산된다.

시금치·오이·호박·가지·가두배추 등의 채소류는 계단식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사리원시의 미나리, 봉산군·은파군의 수박은 예로부터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과일은 사과·배·복숭아·포도·자두 등이 생산되는데, 특히 사과는 도내 전체과일생산량의 58%를 차지하며, 황주사과가 유명하다. 밤은 인산군·수안군·연탄군·평산군·연산군·신계군·곡산군 일대에서, 대추는 봉산군·은파군에서 많이 나는데, 특히 봉산대추는 예로부터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축산업이 활발하여 신계군·곡산군·평산군·서흥군·황주군 등의 목장과 종축장을 중심으로 소·돼지·닭·오리·염소·토끼 등이 사육된다.

특히 황주군의 운성리 전체가 종축장과 목장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사리원시와 송림시 주변에는 현대적인 양계장과 젖소목장이 있다. 양잠은 뽕누에를 비롯해 가둑누에·파마자누에를 치고 있으나, 그 가운데 뽕누에고치생산량이 80%를 차지하며, 주로 연탄군·서흥군·평산군·봉산군·신평군·수안군·곡산군에서 활발하다. 임산자원은 빈약한 편으로 곡산임산사업소·대지임산사업소·연산갱목생산사업소·서흥채벌사업소 등을 중심으로 원목과 광산용 갱목을 생산하고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금·은·납·아연 등의 비철금속과 중석·철 등의 광물이 다양하게 매장되어 있다. 연산군의 홀동광산에서는 금·철광석과 세계적으로 드문 붕소광인 홀동석이 채굴되며, 수안군의 수안광산에서는 구리·몰리브덴·인회석이 채광된다. 신평군의 멱미광산에서는 납·아연이 생산되고 있으며, 만년광산은 매장량과 생산량에 있어서 세계적 규모인 중석광산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 평산군 남천광산에서는 구리, 평산광산에서는 형석, 은파군 은파광산에서는 납·아연 등이 채굴되고 있다. 곡산군에는 곡산인회석광산이 있고, 봉산탄광에서는 석탄이 채굴된다. 서흥군·봉산군·은파군을 비롯한 서부지역에는 석회석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시멘트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공업은 송림지구의 금속공업, 사리원지구의 화학공업, 봉산군을 중심으로 한 건재공업 등 중화학공업, 그밖에 건설부자재·식료품·방직 등 경공업이 발달해 있다.

송림시에는 북한 제2의 종합제철소인 황해제철소를 비롯해서 송림압연공장·송림판유리공장과 중·소규모의 금속공장이 있다. 사리원시에는 사리원가리비료연합기업소를 비롯하여 사리원방직기계공장, 사리원강철공장, 사리원압연공장, 사리원트랙터 부속품공장, 사리원광산기계공장, 사리원방직공장, 사리원곡산공장 등이 있으며, 봉산군에는 2·8시멘트 공장이 있다.

그밖에 연탄농기계공장·평산농기계공장·은파전동기공장·황주농기계공장·평산농기계공장·은파전동기공장·황주농기계공장·황주과일가공공장·황주식료공장·사리원식료공장·사리원직물공장·곡산직물공장 등 중·소규모의 공장들이 있다. 동력자원은 다른 도에 비해 부족한 편으로 예성강 5호수력발전소와 신평군의 남강발전소가 있으며, 인공호와 소하천을 이용한 수력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평부선(평양-개성)은 도의 중앙부를 남동방향으로 통과하는 간선철도로서 도내 화물수송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황해청년선(해주-사리원)은 도의 서부를 남북방향으로 통과해 황해남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청년이천선(평산-세포)은 아호비령산맥을 넘어 강원도로 연결되는 동서횡단철도로서 군사분계선 후방의 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은율선(은파-철광)은 황해청년선의 은파역에서 분기하여 황해남도 재령·신천·은율 등의 철광산지대를 연결하며, 송림선(황주-송림)은 황해제철소에 대한 원료 및 제품을 수송하는 평부선의 지선철도이다.

평부선과 신의주-개성 간 도로, 평양-개성 간 고속도로가 나란히 통과하고 있다. 그밖에 평산-신계-신평-양덕(평남), 금천-토산-이천(강원), 평산-평천(황남), 사리원-재령(황남), 신계-연산-상원(평양), 황주-송림 간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또한 평양-원산 간 고속도로가 북동부 연산-수안-곡산-신평 지역, 평양-개성 간 고속도로가 서남부 황주-봉산-서흥-평산-금천 지역을 통과하고 있다.

개성공업지구(開城工業地區)

ⓒ Mimura/wikipedia | CC BY-SA 3.0

유물·유적·관광

고대 유물·유적으로 연탄고인돌군(북한 사적 제45호)·봉산군지탑리유적(북한 사적 제42호) 등이 있으며, 성불사(북한 국보 제31호)·성불사5층탑(북한 국보 제32호)·연탄군심원사(북한 국보 제33호)가 유명하다. 또한 고구려 때 쌓은 평산군 산성리의 태백산성(북한 사적 제41호), 고려 때 축성한 정방산성과 남문, 봉산군의 지탑리토성, 762년 축성한 휴류산성이 있다. 그밖에 사리원시의 경암루, 서흥군의 귀진사, 금천군의 원명사 등이 남아 있다. 명승지로는 사리원의 정방산·경암산·서흥호·남강쌍절벽이 있으며, 약수터로는 수안군 수천약수, 신계군 침교약수 등이 있다.

교육과 문화

사리원시를 중심으로 사리원의학대학·사리원제1사범대학·사리원제2사범대학·사리원교원대학·사리원공산대학·사리원지질대학·사리원농업대학·사리원고등의학전문학교·사리원고등의약전문학교·사리원건설전문학교·사리원철도전문학교가 있으며, 그밖의 지역에 은파광업전문학교 등이 있다. 사리원도예술극장과 사리원중앙공업박물관 및 중앙농업박물관이 있으며, 체육시설로는 사리원청년경기장과 송림경기장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7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토산군


[Daum백과] 황해북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