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혼상

다른 표기 언어 渾象

요약 조선시대 하늘에 있는 천체들의 움직임과 모양을 나타낸 천구의.

천체관측기구인 혼천의와는 달리 하늘에 있는 천체들의 움직임을 나타낸 일종의 모형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혼천의와 혼상이 혼동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혼상에 대한 기록은 세종 때 처음으로 보인다.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 상위고(象緯考) 의상조에 세종의 명으로 정초(鄭招)와 정인지(鄭麟趾) 등이 고전을 연구하고, 이천(李蕆)과 장영실(蔣英實)이 공역(工役)을 감독하여 1438년(세종 20) 혼상·혼의 등을 비롯한 여러 천문의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여기에 "혼상은 칠포(漆布)로 몸체를 만들었는데, 탄환과 같이 둥글고 둘레가 10척 8촌 6푼이며, 종횡(縱橫)으로 주천도분(周天度分)을 그렸다. 적도(赤道)는 가운데에 있고 황도는 적도의 남북으로 드나들게 했는데 각각 24° 약(弱)이다. 중외(中外)의 관성(官星)을 나열해놓았으며, 하루에 1바퀴 돌고 1°를 더 지난다. 태양을 황도에 올려놓고 매일 1°씩 운행시키면 천체의 운행과 일치하게 되어 있다. 물을 세차게 흐르게 하여 기계를 돌리는데, 이 부분은 속으로 감추어져 있어 나타나지 않게 되어 있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조선 중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혼상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서원에 현존하는데, 천구에 그려진 별자리는 상당히 마모되어 있으며 회전동력장치는 없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혼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