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요
헬레니즘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농업이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폴리스가 경제·사회 생활의 중심이었다.
토착민은 사회·경제 활동에서 제외되었으며, 헬레니즘화한 상류층만이 참여했다.
사회
'그리스인의 디아스포라'(그리스와 에게 해에서 온 많은 그리스인 이민과 소수의 마케도니아 이민)의 소수 상류층이 관리와 육군·해군 및 궁정의 높은 지위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군인·상인·공인·교사·의사·예술가·기술자로 일했다.
그리스인 또는 그리스의 문화를 받아들인 마케도니아인이었던 그들은 헬레니즘화한 동방인과의 혼혈로 이어졌고, 이들이 중산층을 대표했다.
경제
경제생활이 비교적 왕정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도시에서는 제조업 및 상업 부문에서 자유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군주정체 국가에서는 국가에 의한 경제체제가 결정적이었다. 국왕은 행정사무와 상비군을 유지하는 데 많은 경비를 필요로 했다. 상비군은 점점 증대되어, 국왕은 많은 용병의 유지와 육군·해군의 기술적 장비에 엄청난 재원을 조달해야 했다. 이때문에 국가재정과 일반경제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알렉산드로스 3세 이후의 풍요한 재력은 페르시아의 재화를 유통시켜 새로운 경제적 상황을 빚어냈고, 많은 자본을 회전시킬 수 있는 무역과 상업을 증진시켰다. 그러나 BC 3세기 전반의 경제적 번영은 서서히 쇠퇴하여, BC 200년 이후에는 그리스의 빈곤화와 이집트의 통화팽창을 초래했다.
농업은 여전히 경제생활의 기반이었다. 사유지가 증가했으나, 국왕이 가장 넓은 토지의 소유자였다. 국왕이 직접 소유하지 않은 토지에 대해서는 무거운 세금이 매겨졌다. 제조업은 변함없이 소규모 작업장에서 이루어졌다. 공업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량생산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왕은 과세와 독점에 의해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소금은 왕가의 독점 품목이었으며, 이집트에서의 대표적인 독점 물자는 기름·종이·곡물이었다. 사기업은 어느 정도 발달할 여지가 있었지만, 항만은 대상의 통로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관리·보호했다. 당시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국가경제기구가 특히 유명했으며 국왕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지배자로 꼽혔다. 그러나 일반 농민의 생활은 여전히 빈곤했고, 전반적인 생활수준도 낮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헬레니즘의 사회와 경제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