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22. 10. 4, 미국 오하이오 델라웨어 |
---|---|
사망 | 1893. 1. 17, 오하이오 프리몬트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제19대 대통령(1877~81).
남북전쟁 이후에 남부에서 실시된 재건(남부의 연방 재편입)을 끝내고, 8년 동안 부패한 워싱턴 D. C.의 공직사회에 새로운 청렴의 기강을 확립하려고 애썼다.
그는 대통령선거에서 득표수에 이의를 제기하여, 이 문제에 관한 판결을 내리도록 지명된 특별위원회에서 하원의원들과 대법원 판사들의 결정에 따라 대통령에 취임한 유일한 대통령이었다.
남북전쟁(1861~65)이 일어나기 전 10년 동안 신시내티에서 변호사로 성공한 헤이스는 노예도망사건에서 몇 차례 피고를 변호해, 새로 결성된 공화당과 관계를 맺게 되었다. 남북전쟁 때 북군에서 복무한 뒤 하원의원(1865~67)으로 선출되어 일하다가 오하이오 주지사(1868~76)로 선출되었다.
1875년에 주지사 3선에 도전한 헤이스는 안정적인 금본위제도를 강력히 주장함으로써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 이듬해 그는 대통령후보 지명을 위한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오하이오 주의 대의원에게 가장 인기있는 후보자가 되었다. 그는 빈틈없는 선거운동으로 대통령후보 지명을 받았다. 헤이스는 흠잡을 데 없는 공적 기록과 높은 도덕적 품성을 갖추고 있었다. 이것은 부패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던 율리시스 S. 그랜트 행정부(1869~77)의 경우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경제불황과 남부의 급진적 재건에 대한 북부의 환멸이 결합해, 헤이스보다는 그의 경쟁상대인 민주당 대통령후보 새뮤얼 J. 틸던이 일반투표에서 보다 많은 표를 얻었다.
처음의 공식 발표는 선거인단 선거에서도 역시 민주당이 승리했음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헤이스의 선거운동 본부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플로리다 주, 루이지애나 주의 개표 결과에 이의를 제기했고, 그결과 이 3개주에서 2가지의 다른 개표 결과 보고서가 제출되었다. 뒤이어 '헤이스-틸던 사건'이라고 불린 선거분쟁이 일어났다.
헤이스는 찬성하지 않았지만, 결국 15명의 위원으로 특별 선거위원회를 구성한다는 최종해결책이 마련되었다. 이 15명 가운데 8명은 공화당원이었다. 위원들은 모두 자신이 소속된 당의 후보자에게 표를 던졌고 결국 위원회는 이의가 제기된 투표용지를 모두 헤이스의 득표로 인정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그결과 헤이스는 대통령 선거인단에게 185표를 얻어서, 184표를 얻은 틸던을 1표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헤이스는 타협안을 협상할 때 온건한 남부 의원들에게 은밀히 약속한 것을 충실히 지켜, 아직도 점령상태에 있는 남부지역에서 연방군을 철수시켰다. 이리하여 재건시대(1865~77)는 막을 내렸다. 그는 또한 옛 남부연합 지역에서 실시되는 선거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약속해 남부에서 전통적으로 우위를 차지해온 백인 민주당의 지배권 회복을 보장해주었다.
그는 남부 사람들을 연방의 공직에 임명했고, 남부 개발을 위해 국고에서 예산을 책정했다. 이런 정책은 '스톨워트파'라고 부르는 공화당 보수파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대통령이 자신의 임명권을 행사하는 대신 당을 초월한 공개 경쟁시험을 통해 공무원을 선발함으로써 공직을 개혁하려 하자, 이들은 더욱 적개심을 품게 되었다. 마침내 2명의 공화당원이 뉴욕 세관의 고위직에서 해임되자 헤이스와 뉴욕 주 출신 상원의원인 로스코 콩클링 사이에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다.
1877년의 대규모 철도파업 때 헤이스는 주지사들의 요청으로 연방군을 투입해 파업 노동자들과 맞섰다.
그의 행정부는 1873년에 불법화된 은화주조를 재개하라는 남부와 서부의 압력에 끊임없이 시달렸다. 많은 사람들은 이 제안이 통화팽창을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했고, 헤이스는 동부의 금본위제 주장자들을 편들었다. 그는 연방정부가 은화를 구입하며 은화를 법정통화로 하는 블랜드-앨리슨 법(1878)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으나 그의 거부는 의회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헤이스는 대통령으로 한 임기를 마친 것에 만족하고 1880년에 대통령후보 지명 수락을 거부했다. 은퇴한 뒤에는 인도주의 운동, 특히 감옥을 개혁하고 남부 흑인 청소년들의 교육기회를 늘리는 일에 헌신했다.
전기로는 해리 바너드가 쓴 〈러더퍼드 B. 헤이스와 그의 미국 Rutherford B. Hayes and His America〉(1954)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대통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