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헤르메스

다른 표기 언어 Hermes

요약 제우스와 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아르카디아에서는 그를 다산의 신으로 숭상했으며 남근상으로 표현했는데 킬레네 산은 헤르메스의 출생지다.
문학과 제사에서 헤르메스는 항상 소와 양의 보호와 연관되었으며 식물의 신, 특히 판이나 님프들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오디세이아〉에서는 주로 신들의 사신이자 죽은 사람을 하데스로 인도하는 안내자로 나온다.
음악을 후원하고 키타라를 만들었으며 웅변의 신이기도 했고 몇 종류의 널리 알려진 점을 주재했다. 고대 예술에서 그는 긴 튜닉을 입고 모자와 날개 달린 장화를 신은 수염을 기른 성인 남자로 표현되었다. BC 5세기 후반부터는 수염이 없고 알몸인 젊은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헤르메스(Hermes)

ⓒ Dance60/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우스와 마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흔히 로마의 메르쿠리우스나 카베이리 가운데 하나인 카스밀로스 또는 카드밀로스와 동일시되었다. 헤르메스라는 이름은 돌무더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헤르마(herma)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리스에서 돌무더기는 이정표나 경계를 가리키는 데 썼다. 헤르메스를 숭배했던 초기 중심지는 아르카디아였으며, 그곳에 있는 킬레네 산은 그의 출생지로 유명하다. 아르카디아에서 그는 특히 다산의 신으로 숭상되었고 남근상으로 표현되었다.

문학과 제사에서 헤르메스는 항상 소와 양의 보호와 연관되었으며 식물의 신, 특히 판이나 님프들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그러나 〈오디세이아 Odyssey〉에서는 주로 신들의 사자(使者)이자 죽은 사람을 하데스로 인도하는 안내자로 나온다. 그는 또한 꿈의 신이기도 해서 그리스인들은 잠들기 전 마지막 헌주를 그에게 바쳤다. 사자로서 그는 길이나 문간의 신이기도 했던 것 같고 여행자들의 수호자였다. 우연히 발견한 보물은 그가 선물한 것이었고 뜻밖에 얻은 행운도 그의 덕분이었다.

떳떳한 것이든 아니든 간에 이득의 신이라는 개념과 역할은 그가 다산의 신이라는 데서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이었다. 여러 가지 면에서 아폴론의 경쟁 상대로서, 아폴론처럼 음악을 후원하고 키타라를 만들었으며 때로는 음악 그 자체를 만들었다고 믿어졌다. 웅변의 신이기도 했고 몇 종류의 널리 알려진 점(占)을 주재했다. 헤르메스에게 바쳐진 숫자는 4였고, 매달 4번째 날이 그의 생일이었다. 고대 예술에서 그는 양식화된 헤르마와는 별도로, 긴 튜닉을 입고 모자와 날개 달린 장화를 신은 수염을 기른 성인 남자로 표현되었다. 때로는 양을 어깨에 멘 목가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또는 신들의 사자로서 사자의 지팡이인 케리케이온(카두케우스)을 지닌 모습으로 그려진다. BC 5세기 후반부터는 수염이 없고 알몸인 젊은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헤르메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