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허치슨

다른 표기 언어 Francis Hutcheson
요약 테이블
출생 1694. 8. 8, 아일랜드 카운티다운 드러멀릭
사망 1746, 글래스고
국적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영국

요약 스코틀랜드계 아일랜드의 철학자.

허치슨(Francis Hutcheson)

ⓒ Allan Ramsay/wikipedia | Public Domain

인간이 올바로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은 도덕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장로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1710~16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철학·고전학·시학 등을 공부했고, 1719년 더블린에 사립학교를 세웠다. 1729년 글래스고에 돌아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도덕철학 교수를 지냈다.

1719년 얼스터의 아일랜드 장로회측으로부터 전도사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1738년 글래스고 장로회측은 그의 주장, 즉 신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전이라도 선과 악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견해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러나 대중적 설교자로서 그의 입지는 확고해 저명한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데이비드 이 그에게 〈인성론 Treatise of Human Nature〉의 한 부분인 〈인간의 도덕에 관하여 Of Human Morals〉의 초안에 대한 논평을 요청하기도 했다.

허치슨의 윤리이론은 〈아름다움과 덕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연구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1725)·〈감정 및 애정의 본성과 행동에 대하여 An Essay on the Nature and Conduct of the Passions and Affections, with Illustrations upon the Moral Sense〉(1728), 사후에 출판된 〈도덕철학의 체계 System of Moral Philosophy〉(2권, 1755) 등에 표현되어 있다.

허치슨에 의하면, 인간은 5가지 외부감각 외에도 미감·도덕감·자부심·수치심 등 여러 내부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도덕감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도덕감이 인간 내면에 심어져 있으며, 행위와 감정의 특징에 따라 본능적·즉각적으로 발현하여 유덕한 자는 시인하고 악덕한 자는 혐오한다고 생각했다.

허치슨의 도덕기준은 하나의 행동이 인류의 복지 전체를 증진하는 경향이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는 영국의 사상가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 나아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표현을 예견했다. 허치슨은 또 논리학자·인식론자로서도 뛰어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허치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