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허유례

다른 표기 언어 許惟禮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초기의 공신.

본관은 양천. 아버지는 숭도이고, 이시애(李施愛)의 처조카이다. 사옹별좌로 재직중이던 1467년(세조 13) 5월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훈융절제사 염목의 군관으로 함경도병마절도사 허종(許棕)의 휘하에 속하여 난의 진압에 참여했다.

이시애 밑에서 길주권임으로 있던 아버지 숭도를 설득하기 위해 단신으로 길주에 잠입한 그는 거짓 귀순으로 이시애를 속이고 아버지를 만나 역순을 설명하여 동의를 얻은 뒤 반란군의 장수 이주(李珠)·이운로(李雲露)·황생 등을 포섭하여 경성 운위원에서 이시애 등 반군 지도부를 살해, 체포하고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적개공신 2등으로 길성군에 봉해지고 행중추부첨사가 되었다.

1472년(성종 3) 이시애의 잔당을 도와주었다는 혐의로 공신적에서 삭제되고 수원에 안치되었다가 1474년 4월 귀양에서 풀려났으며 이후 공신전·별사전 등도 돌려받았다. 공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길주의 향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효장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행정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허유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