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향약의 보급

다른 표기 언어

본래 향약은 중국 송나라 때인 1076년에 여대충(呂大忠)·대방(大防)·대균(大鈞)·대림(大臨) 4형제에 의해 섬서성(陝西省) 남전현(藍田縣)에서 시행했다고 한다.

〈소학〉에도 간략히 소개된 그 향약은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난상휼(患難相恤)의 4강령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남전여씨향약' 또는 줄여서 '여씨향약'이라고 한다. 이것을 주희가 남송사회의 현실을 참고하여 이른바 '주자증손여씨향약'으로 만들고 '월단집회독약지례'(月旦集會讀約之禮)를 덧붙였다.

이것 역시 그대로 '여씨향약' 또는 '주자향약'이라 부르기도 했다. 〈주자대전〉·〈소학〉에 실려 주자학의 수용과 함께 우리나라에 소개된 향약은 일찍부터 사족들 사이에 행해졌다. 15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김문발(金文發)·이선제(李先齊)·정극인(丁克仁)·강응정(姜應貞)과 같은 인물들이 향약을 시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향약의 시행 초기에는 향약을 조직체보다는 〈소학〉과 같은 일종의 수신규범으로 간주했다.

아울러 향촌에 존재하고 있던 동린지계(洞隣之契)·향촌결계(鄕村結契)·향도(香徒) 등의 조직체를 향약과 혼동하기도 했다. 때로는 향약을 향음주례로 이해하기도 했다.

향약이 중앙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517년(중종 12)부터였고, 사림파에 의해 전국적인 실시 논의가 제기됨으로서 더욱 확대·보급되었다. 향약실시를 주장한 시기에 따라서 내용이나 인식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사림파의 향약시행은 궁극적으로 주자학적 가치관에 입각한 향촌사회의 신분질서확립이라는 이데올로기의 실천으로 현경제구조를 유지하여 지주로써의 계급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것이었다.

또한 사림파에 있어서 향약의 실시는 도학(道學)의 구현이라는 정치이념의 실현이며 향촌사회에서의 주도권 장악과 정치세력기반의 조성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약 2년에 걸쳐 전개된 향약시행 논의는 1519년에 일어난 기묘사화로 인해 정지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향약의 문제점들이 거론되고 미약하나마 향약을 조직체로 이해하기도 했으며, 경성향약의 시행 주장에서처럼 향약시행을 위해 별개의 시행기구를 조직하자는 주장도 있었다.

그뒤 1543년(중종 38)에 김인후(金麟厚)가 공식으로 향약시행을 요청했고, 1546(명종 1), 1571년(선조 4)에도 시행을 주장하는 요청이 있다가 1573년부터 본격적인 시행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 이이(李珥)의 '선양민후교화'(先養民後敎化)를 내세운 향약 시행중지 주장이 받아들여져 향약의 전국시행은 정지되었다. 중종과 선조 연간의 논의 과정을 보면, 향약이 유교가치관의 실현체라는 점에서는 모두가 공감을 하면서도 정치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향약이 전국적으로 하나의 기구를 통해 실시되지는 않았으나 사림파가 화를 입은 이후에도 끊임없이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주로 재지사족(在地士族)에 의해 시행된 향약의 성격 및 기능은 시행 주체인 사족층의 향촌에서의 지배권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향약시행의 대체적인 경향은 초기 사족 중심의 향약으로부터 점차 상하가 함께하는 향약으로 옮겨갔으며, 규모도 대규모보다는 촌락의 생활권을 기준으로 하는 동약으로 옮겨갔다. 물론 조선 후기 향촌 내에서 사족들의 자치권이 약한 경우 수령이 주도하는 향약도 많아졌으며, 자치적 기구보다는 군현의 부세채납기구가 되기도 했다. 조직의 형태도 사창(社倉)과 결합한다거나 학교조직과 겹쳐서 짜여지기도 했다.

한편 향약의 형태나 대상지역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서 지역제한을 두지 않는 것도 있으며 군현단위에서 점차 동단위의 동약이 등장했다. 구성원에 있어서 사족만이 참여한 것도 있으며 상하가 함께한 것도 있었다. 이러한 향약을 시행주체에 따라 사족향약·수령향약·상하동약 등으로 부르기도 하고, 시행단위에 따라 주현향약·동약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조선 후기 동약은 동계·동규(洞規)·이사계(里社契) 등으로 불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향약의 보급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