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해양원격탐사

다른 표기 언어

해양학자들이 직면하는 근본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는 해양의 정확한 크기에 관한 정보이다. 초기 해양학자들은 해양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특수선박 및 특수잠수정에 의존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탐사에는 비용이 매우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폭넓게 연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해양학계는 넓은 지역을 반복해 조사할 수 있는 원격탐사 기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의 해양 연구에 있어 원격탐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해양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위성천문대).

해양학적 관찰을 목적으로 만든 최초의 인공위성은 1978년에 띄운 '시샛'(Seasat)호이다. 인공위성은 여러 가지 측정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해수면의 온도, 해수면으로 유입되는 복사량, 파도의 높이, 해수면 근처에서의 풍속, 해저퇴적물의 이동 양상과 같은 많은 해양관측 자료들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해양원격탐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