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성부

다른 표기 언어 漢城府

요약 한성부는 1394년에 도읍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고, 다음 해에 한양부를 한성부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경국대전>에는 한성부의 담당임무를 서울의 인구·시전·가옥·토지·사산·도로·교량·구거·포결·부채·투구·주순·검시 등의 관장으로 규정했다. 한성부는 형조·의금부와 함께 사법기능을 행사하여 3법사의 하나로도 불렸다.
한성부의 직제는 <경국대전> 편찬과 함께 정2품 판윤 1명, 종2품 좌·우윤 각 1명, 종4품 서윤 1명, 종5품 판관 2명, 정7품 참군 3명으로 법제화되었다. 한성부의 행정구역은 세종 때 도성과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한성부는 왕도를 관할한 관아였다. 1910년 조선의 멸망과 함께 경성부로 개칭되어 경기도에 예속되면서 소멸했다.

경도·경조라고도 한다.

한성부는 1394년(태조 3)에 왕과 관료들이 국가의 기강 확립과 민심을 새롭게 하기 위해 도읍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고, 다음해에 한양부를 한성부로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한성부는 1399년(정종 1) 왕자의 난으로 개경으로 옮겼다가 1405년(태종 5) 한성부로 환도하여 한말까지 계속되었다.

한말인 1895년(고종 32) 8도제를 23부 336군으로 개혁하는 조치로 한성부는 한성군(漢城郡)으로 격하되었으며, 인근의 양주·광주 등 11군을 관할했다. 다음해에 13도제로 개편하면서 한성부로 복구되었고, 1910년(융희 4) 조선의 멸망과 함께 경성부로 개칭되어 경기도에 예속되면서 소멸했다.

한성부는 고려의 개성부제를 답습하여 경기의 과전과 관내의 토지·호구·농상·학교·사송 등을 관장했던 것같다. 그리고 1425년(세종 7) 이전에 왕도의 치안에 관한 업무가 추가되었고, 1426년에 형조로부터 형결(刑決) 이외에 상투(相鬪)와 관련된 임무가 이관되는 등 관할 업무가 계속 확대되었다. 〈경국대전〉에는 한성부의 담당임무를 서울의 인구·시전·가옥·토지·사산(四山)·도로·교량·구거(溝渠)·포결(逋欠)·부채·투구(鬪歐)·주순(晝巡)·검시 등의 관장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한성부의 기능은 이후 한말까지 계속되었다. 그런데 한성부는 그 업무가 6조와 관련되어 수행되었는데, 특히 형조·의금부와 함께 사법기능을 행사하여 3법사의 하나로도 불렸다.

한성부의 직제는 업무증가·직제정비와 관련되어 여러 차례 바뀌었다가, 〈경국대전〉 편찬과 함께 정2품 판윤(判尹) 1명, 종2품 좌·우윤 각 1명, 종4품 서윤(庶尹) 1명, 종5품 판관 2명(서윤과 判官 중 1명은 구임), 정7품 참군(參軍) 3명(1명은 겸직)으로 법제화되었다. 이 관제는 1894년(고종 31)까지 이어지다가, 한일합병 때 한성부가 경성부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한성부의 행정구역은 성립되었을 당시에는 분명하지 않았지만, 세종 때 도성과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의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대개 동계는 송계원(松溪院)과 대현(大峴), 서계는 양화도(楊花渡)와 고양 덕수원(德水院), 남계는 한강, 북계는 북한산이었다. 이 지역을 부-방-계(契)로 편성하여 다스렸다. 부방제는 초기에 개경의 부방제를 모방하여 중·동·서·남·북의 5부로 구획하고, 각 부에 8·12·11·10·10방을 두었다. 1894년 갑오개혁 때 5부의 칭호를 5서(署)로 개칭했고, 방명의 일부가 바뀌고 계의 축소 및 하부에 동(洞)이 설치되면서 한성부-5서-47방-288계-775동으로 정비되었다.

도성 밖에는 처음에 15관령이 부와는 무관하게 한성부에 직속되면서 각각의 지역을 관장했고, 1461년(세조 7)에 그 방위에 따라 5부에 소속되었다. 한성부는 왕도를 관할한 관아였고, 아울러 도성의 행정·사법·치안까지 관장하는 기능 및 장관·차관이 대소 조정에 참여하는 등 6조와 대등한 지위와 대우를 누렸다. 그러나 1905년 이후 내무대신의 지휘하에 들어가면서 6조의 하위아문으로 격하되었다.→ 서울특별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한성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