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올리버 오티스 하워드

다른 표기 언어 하워드 , Oliver O(tis) Howard
요약 테이블
출생 1830년 11월 8일, 미국 메인 리스
사망 1909년 10월 26일, 버몬트 벌링턴
국적 미국

요약 미국 남북전쟁(1861~65) 당시 북군의 장교.

재건기간 중 해방노예들을 갱생시키는 일을 담당한 해방노예국(1865~72) 책임자로 있었다.

1854년 뉴욕 주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하워드는 전쟁 초기에 정규군의 장교직을 사임하고 메인 주 지원병 부대의 대령이 되었다. 버지니아에서 제1차 불런 전투, 반도 회전(會戰), 페어오크스(세븐파인스) 전투(여기서 오른팔을 잃었음), 앤티텀 전투에 참전한 뒤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1862). 또한 챈슬러즈빌 전투(1862. 5)와 테네시 회전 및 애틀랜타 회전에도 참전했다(1863~64). 1864년 7월 테네시군(軍) 총사령관으로 진급한 하워드는 윌리엄 T. 셔먼 장군과 함께 조지아를 거쳐 해안으로 진군해(1864. 11~12) 캐롤라이나 회전에 참전했다(1865초). 전쟁기간 동안 노예상태에서 해방된 흑인들의 복지에 남다른 관심을 보인 하워드는 앤드루 잭슨 대통령에 의해 난민과 해방노예 및 유기(遺棄) 토지 관리국(해방 노예국)의 국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유능한 행정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기관 내의 직권남용을 막지 못했으며 참모들도 대부분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관은 수백만 명의 빈민을 먹여살리고 병원을 세워 직접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했으며, 해방노예들을 위해 수천 건의 노동계약을 처리했다. 가장 중요한 사업은 흑인들을 위한 종합학교와 기술훈련소를 여러 개 설립한 것이었다. 워싱턴 D. C.에 세워진 하워드대학교(1867 설립)는 관리국 사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고 그가 이 대학의 설립자 가운데 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그의 이름을 붙였다. 하워드는 이 대학의 제3대 총장(1869~74)을 역임한 뒤 군대로 되돌아갔다. 서부에서 인디언과 싸웠으며 웨스트포인트의 교장(1880~82)을 지냈다. 1907년 출판된 자서전을 비롯해 전쟁사에 관한 여러 저서를 남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올리버 오티스 하워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