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티베리우스 2세

다른 표기 언어 Tiberius II Constantinus
요약 테이블
출생 ?, 트라키아
사망 582. 8. 14, 콘스탄티노플
국적 비잔틴

요약 비잔틴의 황제(578~582 재위).

동쪽의 페르시아인들한테서 비잔틴 제국을 지키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북쪽과 서쪽의 아바르족 및 슬라브족과의 싸움에서는 패배를 맛보았다. 티베리우스는 유스티누스 2세가 발칸 반도에서 아바르족과 싸우는 원정에 참여했다. 574년 무렵, 유스티누스는 발작적으로 정신착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래서 황후인 소피아와 티베리우스가 통치권을 이어받았다. 유스티누스는 티베리우스를 아들로 입양했고, 574년 12월 7일에 그를 공동 황제로 임명했으며, 그에게 직접 제관을 씌워주었다(578. 9. 26). 그 직후 유스티누스가 죽자(578. 10. 4) 티베리우스는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한편 578년에 비잔티움과 페르시아는 아르메니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페르시아 왕 호스로 1세는 비잔티움이 제시한 조건대로 타협할 것처럼 보였지만, 579년 이른 봄에 죽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인 호르미즈드 4세는 티베리우스의 제안을 거부했고, 전쟁이 재개되었다.

이 전쟁은 티베리우스의 통치기간 내내 계속되었다. 북쪽에 접경하고 있는 아바르족에 대해서는 해마다 공물을 바쳐 도발을 막으려고 애썼지만, 아바르족에게 2년 동안 포위 공격을 당하자, 시르미움(지금의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공화국의 스렘스카미트로비차)을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582). 한편으로는 슬라브족이 트라키아와 테살리아 및 일리리쿰을 비롯한 그리스의 여러 지역으로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왔다.

582년에 중병에 걸린 티베리우스는 페르시아 전쟁에서 사령관으로 활약한 마우리키우스를 후계자로 인정하고, 죽기 전날인 8월 13일에 그를 황제 자리에 앉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티베리우스 2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