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생산물 그 자체로서 사용되지 못하고 각종 공업생산물의 원료에 쓰이거나 많은 가공과정을 거쳐야 우리 생활에 쓰일 수 있는 작물.
공업원료작물 또는 공예작물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특용작물은 가공과정이 끝나면 그 부피와 무게가 작아지고 부가가치가 높아져 가격이 높아지며 수송 및 저장력도 커진다.
특용작물을 전체적으로 분류하면 ① 섬유작물:삼·모시·목화·왕골, ② 유료작물:참깨·들깨·아주까리, ③ 기호작물:담배·차나무, ④ 약용작물:인삼·오미자·두릅나무, ⑤ 전분료작물:감자·고구마, ⑥ 당료작물:사탕수수·사탕무, ⑦ 염료작물:쪽·치자나무, ⑧ 수액작물:옻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재배 및 경영상의 특징으로는 첫째, 지역성이 강해 한 지역의 특산물로 주로 재배되며, 둘째, 환금성이 다른 작물보다 높고, 셋째, 수요 및 공급의 변화가 심해 가격변동이 크며, 넷째, 가공시설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협동생산 및 단지조성 시설의 공동이용 등이 필요하고, 국가의 보호정책하에 많이 발달하며, 다섯째, 종류가 다양하여 일반작물과 병행해서 합리적 재배를 하면 적은 노동력과 농지의 집약적 이용으로 농가소득을 높일 수 있다.
한국의 주요특용작물로는 전매작물인 담배와 인삼의 비중이 가장 크고 참깨·유채·들깨 등의 비중도 크다. 최근에는 각종 생약기술의 개발로 약용식물이 특용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