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팽형

다른 표기 언어 烹刑 동의어 자형, 煮刑

요약 자형이라고도 한다. 기록이 적고, 다만 일부 사료에 나라와 백성의 재물을 탐한 관리를 처벌하는 형벌로 쓰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조선 성종 때 노사신이 쓴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십자각 다리를 지나 흐르는 물은 ~ 남쪽으로 흘러 혜정교에 이르는데, 민간에서 말하기를 관원으로서 재물을 많이 탐한 자를 이 다리 위에서 삶았다"고 한다. 형벌의 명칭으로는 사형보다 무거운 형벌로 보이지만 생명형이나 신체형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이렇듯 팽형은 관리들의 독직 행위에만 국한해 처벌했던 형벌로 죽이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형은 형을 집행한다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보는 가운데 행해지는 일종의 경고로, 이 형벌이 끝난 뒤에 살아 있어도 죽은 사람처럼 취급받고 공민권을 박탈당했다. 이처럼 실제로 산 사람을 삶아 죽였는지 삶는 시늉만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이 형벌은 대한제국기까지 계속 남아 있었다.

팽형(烹刑)

이시카와 고에몬의 팽형.

ⓒ Utagawa Kunisada/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자형(煮刑)이라고도 한다. 기록이 적고, 다만 일부 사료에 나라와 백성의 재물을 탐한 관리를 처벌하는 형벌로 쓰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조선 성종 때 노사신이 쓴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십자각(十字閣) 다리를 지나 흐르는 물은 경복궁 성터 동쪽 가에서 흘러내린 물과 합쳐져 중학(中學) 터 앞에 있는 중학다리를 거쳐 남쪽으로 흘러 혜정교에 이르는데, 민간에서 말하기를 관원으로서 재물을 많이 탐한 자를 이 다리 위에서 삶았다"고 한다.

또 한말 일제통감부의 감옥을 담당했던 관리로 뒤에 경성형무소 소장을 역임했던 나카하시[中橋政吉]가 쓴 〈조선구시의 형정 朝鮮舊時の刑政〉(1937)이라는 견문록에서 보면, 조선에는 제재형(制裁刑)의 일종으로 팽형이 있었고 일명 자형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형벌의 명칭으로는 사형보다 무거운 형벌로 보이지만 생명형이나 신체형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이렇듯 팽형은 관리들의 독직(瀆職:직분을 더럽힘) 행위에만 국한해 처벌했던 형벌로 죽이지는 않았던 것 같다.

집행방법을 보면, 임시로 종로의 사람이 많이 다니는 다리 위에 커다란 아궁이를 만들고 그 위에 큰 가마솥을 걸었다. 그리고 아궁이에 불을 지필 수 있게 나무를 놓았다. 아궁이 앞에는 병풍을 치고 군막을 둘러 재판석을 만들었으며, 재판석에는 재판장인 포도대장이 앉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이와 같이 준비가 끝나면 포도대장이 나와 죄인을 부르고, 죄인을 가마솥의 나무뚜껑 위에 묶은 채 앉혔다. 포도대장이 죄인의 죄명을 선고하고 형을 집행했다. 이 형은 형을 집행한다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보는 가운데 행해지는 일종의 경고로, 이 형벌이 끝난 뒤에 살아 있어도 죽은 사람처럼 취급받고 공민권을 박탈당했다. 이처럼 실제로 산 사람을 삶아 죽였는지 삶는 시늉만 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이 형벌은 대한제국기까지 계속 남아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팽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