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팔상도

다른 표기 언어 八相圖

요약 석가모니의 일생을 8장면으로 압축하여 묘사한 그림.

팔상도(八相圖)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석가팔상·팔상성도라고도 한다. 인도에서는 BC 2세기경에 이미 석가모니의 생애를 묘사한 불전도가 성립되었으며, 그 내용은 출생·성도·전법륜, 열반의 사상과 탁태·출유·출가·항마로 모두 합쳐서 팔상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팔상도는 〈불본행집경 佛本行集經〉을 기본으로 제작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1447년에 제작된 〈석보상절 釋譜詳節〉의 목판 팔상도가 가장 오래되었으며, 〈월인석보 月印釋譜〉(1568)·〈석씨원류응화사적 釋氏源流應化事蹟〉(1673)의 목판 팔상도도 있다.

조선 후기의 팔상도에는 각 장면마다 공통적으로 도솔래의상·비람강생상·사문유관상·유성출가상·설산수도상·수하항마상·녹원전법상·쌍림열반상이라는 팔상의 명칭이 씌어 있다.

일반적으로 팔상도는 사찰의 팔상전이나 영산전에 봉안된다.→ 석가모니 불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팔상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