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파푸아뉴기니의 국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1980년에는 파푸아뉴기니 인구의 2/5 이상이 15세 이하였다. 평균인구밀도는 23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은 시골에 거주하며 자급농업을 하고 있다.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체인구의 1/7에도 못 미친다.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높은데, 예방의학정책과 말라리아 근절 프로그램의 확대 등으로 유아사망률이 줄어들었다. 평균수명은 남녀 모두 53세이다. 파푸아뉴기니에는 다양한 민족이 산다. 700여 개 민족이 2개의 큰 집단으로 나뉘는데, 파푸아인이 전체인구의 4/5를 차지하고, 멜라네시아인은 1/6이 채 못된다. 나머지는 폴리네시아인·중국인·유럽인 등이다. 언어도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 700여 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전체인구 중 소수에 의해 사용되지만 영어가 공식어이다. 인구의 3/5이 개신교도이고, 1/3 정도가 로마 가톨릭교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통적인 종교 신앙과 의식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1980년에는 파푸아뉴기니 인구의 2/5 이상이 15세 이하였다. 평균인구밀도는 23명/㎢이다. 그러나 플라이·세피크 강의 넓은 습지유역은 인구가 매우 희박하다. 대부분의 주민은 시골에 거주하며,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체인구의 1/7에도 못 미친다. 또한 도시인구의 2/3 이상이 포트모르즈비(2024년 기준 인구 42만 명으로 최대도시임)·라에·마당·웨와크·고로카 등의 주요 5개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높은데, 1984년 출생률은 인구 1,000명당 35명이었고, 사망률은 14명이었다. 유아사망률이 높다. 1980년대 중반에는 1960년대와 비교해 1/3 정도 줄어들어 1,000명당 103명에 불과했다. 예방의학정책과 말라리아 근절 프로그램의 확대, 모자보건제도의 도입, 식생활 개선 등으로 유아사망률이 줄어들었다.

2024년 추계인구는 1,051만 명이며, 이중 13%만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전체 인구의 36%가 15세 이하의 유소년층이다. 평균기대수명은 남성 63세, 여성 69세이다(2021). 남부 고지대 지방에는 중혼(重婚)의 풍습이 있다. 국내의 이주는 대부분 농촌에서 도시로 이루어지며, 외국으로의 이민이나 국내로의 이민은 거의 없다.

파푸아뉴기니에는 다양한 민족이 산다. 700여 개 민족이 2개의 큰 집단으로 나뉘는데, 파푸아인이 전체인구의 4/5를 차지하고, 멜라네시아인은 1/6이 채 못된다. 나머지는 폴리네시아인·중국인·유럽인 등이다.

파푸아 민족은 내륙과 남부지방에서 살고, 멜라네시아 민족은 북동부와 외곽 섬에서 산다. 언어도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 700여 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전체인구 중 소수에 의해 사용되지만 영어가 공식어이다. 인구의 절반 정도가 멜라네시아 혼합어인 토크피신어를 사용한다. 약 15만 명의 사람들이 히리어 또는 폴리세모투어를 사용하는데, 이 두 언어는 국제혼성 어로 사용된다. 인구의 대다수가 여전히 부락마을에서 살고 있으며, 자급농업을 하고 있다. 인구의 3/5이 개신교도(루터파 교회가 대다수임)이고, 1/3 정도가 로마 가톨릭교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통적인 종교 신앙과 의식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파푸아뉴기니의 국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