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파랑볼우럭류

다른 표기 언어 파랑볼우럭 , sunfish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검정우럭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아시아
서식지 연못, 호수, 하천
크기 약 10cm ~ 33cm
무게 약 340g ~ 450g
학명 Lepomis macrochirus
식성 육식

요약 크래피(crappie) 및 블랙배스(black bass)와 함께 농어목 검정우럭과에 속하는 다수의 북아메리카산 민물고기.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연못과 호수, 하천에 서식한다. 크기는 10~33cm 정도이고, 무게는 340~450g 정도이다. 식성은 육식이다.

파랑볼우럭

ⓒ WIKIMEDIA COMMONS (Ltshears) | public domain

개요

조기어강 농어목 검정우럭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Lepomis macrochirus’이다. 보통 몸길이가 40cm 이하로 큰 편은 아니지만 좋은 식용·낚시용 어류로 알려져 있다. 이 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종으로는 파랑볼우럭과 검은띠우럭, 긴귀우럭 등이 있다.

형태

크기는 약 10~33cm, 무게는 약 340~450g이고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체색이 푸르스름하고 밝다. 이 류는 앞쪽의 가시지느러미살과 뒤쪽의 여린 지느러미살로 구성된 연속적인 등지느러미(두 지느러미살 부분은 블랙배스에서처럼 U자형 새김눈에 의해 나누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근연인 퍼치고기와는 달리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음)를 가지며, 종에 따라 아가미뚜껑의 뒤쪽 가장자리 상단에 뚜렷한 피부판(flap), 즉 '귓불'(ear lobe)을 지니기도 한다.

생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이고, 주로 연못이나 호수, 하천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으로, 다른 물고기들과 수서 무척추동물을 주 먹이로 삼는다. 번식할 때에 수컷은 봄에 꼬리로 둥지를 비워낸 뒤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하게 하는데, 이때 체색이 특히 화려하다. 산란 후에는 수컷이 알과 갓 태어난 어린 물고기를 지킨다.

종류

파랑볼우럭류에 속하는 종으로는 미국 동부의 검은띠우럭, 녹색 바탕에 복부가 오렌지색이고 머리의 아래쪽 가장자리 및 아가미뚜껑이 푸른색이며 식용과 낚시용으로 잘 알려진 파랑볼우럭, 오렌지색 점과 파도 모양의 밝은 청색 줄무늬가 특징인 긴귀우럭, 복부가 오렌지색이며 아가미뚜껑에 빨간 점이 있고 몸의 바탕색이 녹색이나 푸른색인 호박씨우럭, 녹색 바탕에 불규칙한 어두운 무늬를 지니고 있으며 식용 또는 낚시용인 바위큰입우럭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파랑볼우럭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