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중세의 트로이 전설

다른 표기 언어

중세기 작가들은 호메로스 작품들을 직접 접한 적은 없었지만, 트로이 전설의 영웅적이고 로맨틱한 이야기를 자신들 시대의 궁정연애나 기사도적 사랑의 개념과 끼워 맞출 수 있었고 특히 프랑스·영국의 국가 기원을 설명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중세기 판(版)의 주요출처는 딕티스 크레텐시스와 다레스 프리기우스가 쓴 허구적인 전쟁담이었다.

다레스는 서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가 쓴 의사연대기가 트로이 측에 유리하게 기록되었고 몇몇 서구 국가들의 기원이 트로이인 것으로 여겨져서 서구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엑시터 출신의 조지프, 슈타더의 알브레히트, 플릭세쿠르의 장, 워터퍼드의 조프루아, 세르베스 코팔 등이 다레스의 글을 작품의 소재로 이용했지만, 트로이 주제를 이용한 핵심적인 작품은 브누아 드 생트모르가 쓴 프랑스의 로맨스 〈트로이 이야기 Roman de Troie〉(1154~60)이다.

방대한 시(詩)로 구성된 이 작품은 이아손과 헤라클레스에 의한 최초의 트로이 파괴, 프리아모스에 의한 재건, 파리스의 헬레네 유괴, 트로이의 포위공격과 전쟁들, 영웅 오디세우스의 방랑을 포함한 전후 이야기 등을 그린 것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헬레네와 파리스, 아킬레우스와 플릭세나, 트로일로스와 브리세이다(크레시다) 간의 사랑이야기가 강조되었다. 후일 중세기 작가들은 〈트로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시칠리아의 판사 구이도 델레 콜론네가 1287년경에 라틴어 산문 〈트로이 파멸의 역사 Historia destructionis Troiae〉를 완성하고부터는 이것에서 소재를 얻었다.

구이도의 산문은 오랫동안 독창적인 것으로 명성을 누렸지만 사실은 〈트로이 이야기〉의 축약판이었다.

트로이의 전설은 15세기에 특히 부르고뉴 왕실의 총애를 받았던 것으로 보이며, 부르고뉴 공 도서실에는 트로이에 관한 필사본이 17개나 소장되어 있었다. 그중에서 구이도의 작품에 기반을 둔 라울 르 페브르의 〈트로이 역사집 Recueil des histoires de Troye〉(1464)은 윌리엄 캑스턴에 의해 영어로 번역·인쇄(1474경)된 최초의 책이 되었다.

또한 구이도 작품의 스페인어·이탈리아어·덴마크어·네덜란드어·스웨덴어·아이슬란드어·체크어 판도 나왔다. 트로이 전설의 인기는 특히 프랑스 문학 같은 중세의 다른 문학에서 전설 자체와 전설 속의 인물·주제가 많이 언급된 데서도 입증된다. 그 주제는 또한 필사본 채색과 태피스트리 등의 중세예술에서도 종종 사용되었다.

트로이의 흩어진 영웅들이 몇몇 서구 국가들, 특히 영국과 프랑스를 세웠다는 문학적 또는 심지어 애국적인 전설이 수천 년간 지속되었다.

7세기 중엽에 프랑크족 연대학자 프레데가리우스는 일단의 트로이인들이 트로이 시 파괴 이후 자신들의 왕 프란키오의 지휘 아래 라인 강, 도나우 강, 지중해 사이 지역에 어떻게 정착했는지를 설명했다. 프랑크족의 기원을 트로이인으로 보는 이 최초의 견해는 이후 계속해서 연대학자·계보학자·찬사가 간에 반추되었다. 16세기에도 여전히 끈질기게 남아 있던 이 신화는 장 르메르 드 벨주의 〈갈리아의 삽화와 트로이의 진기함 Illustrations de Gaule et singularités de Troie〉(1510~13)과 롱사르의 민족서사시 〈라 프랑시아드 La Franciade〉(1572)에 영감을 주었다.

영국에서는 영웅 아이네아스의 증손자이자 로마인의 전설적인 시조인 브루투스가 영국인의 시조이면서 트로이아노바(뉴트로이[런던])의 창건자라는 비슷한 전설이 일찍이(9세기 이전) 형성되었다. 저지의 웨이스(바스)가 자신의 작품 〈브루트 이야기 Roman de Brut〉(1155)에서 맥을 이은 이 전설은 셰익스피어의 시대가 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화/전설

신화/전설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중세의 트로이 전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