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토마

다른 표기 언어 Te'oma
요약 테이블
출생 ?, 갈릴리(?)
사망 53(?), 인도 마드라스

요약 축일은 서양 교회 12월 21일, 로마와 시리아 교회는 7월 3일, 그리스 교회는 10월 6일. 12사도중의 한 사람.
(영). Saint Thomas.

그의 아람어 이름(Te⁾oma)과 그리스어 이름(Didymos)은 '쌍둥이'를 뜻한다.

〈요한의 복음서〉 11장 16절에는 '쌍둥이라고 불리는 토마'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시리아인들은 그를 유다 토마(즉 쌍둥이 유다)라고 부른다.

토마라는 인물에 대한 기록은 〈요한의 복음서〉에서 찾아볼 수 있고, 예수에 대한 그의 헌신적인 사랑은 〈요한의 복음서〉 11장 5~16절에 잘 나타나 있다. 예수가 유대 지방으로 돌아가려고 하자 제자들은 예수에 대한 유대인들의 적개심("그들은 지금 선생님을 돌로 치려 하고 있습니다")을 지적했는데, 이때 토마는 "우리도 함께 가서 그와 생사를 같이합시다"라고 말했다.

최후의 만찬(요한 14:1~7)에서 예수가 "나는 다시 와서 너희를 데려가 내가 있는 곳에 같이 있게 하겠다. 너희는 내가 어디로 가는지 그 길을 알고 있다"라고 말했을 때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해 "우리가 어떻게 그 길을 알겠습니까?"라고 물었고, 예수는 이 물음에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라고 대답했다. 토마의 삶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사건은 '의심하는 토마'라는 말이 생겨나게 한 사건일 것이다.

〈요한의 복음서〉 20장 19~29절을 보면 예수가 부활해서 제자들에게 처음 나타났을 때 토마는 없었다. 부활한 예수를 만난 제자들이 그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하자 토마는 예수가 부활한 것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손으로 만져 보아야만 믿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수가 제자들에게 다시 나타나 특별히 토마에게 자신의 상처를 만져보도록 했을 때 토마는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이라는 진리를 깨닫고, 예수의 신성을 명백하게 인정한 첫번째 사람이 되었다.

토마에 대한 그뒤의 기록은 확실하지 않다.

4세기 카이사레아의 주교 유세비우스가 쓴 〈교회사 Ecclesiastical History〉에 따르면 토마는 파르티아(지금의 코라산)에서 복음을 전파했다고 한다. 후대의 그리스도교 전승에 따르면 토마는 인도까지 가서 자신의 사도직을 수행했으며, 그곳에서 시리아 말라바르 그리스도교(토마교)의 창시자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시리아에서 처음 씌어 외경 〈토마행전 Acts of Thomas〉에는 토마가 마드라스(지금의 첸나이)의 밀라포레 왕의 재위중에 순교했다고 되어 있다.

그곳에는 상토메 산과 전통적으로 토마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전해지는 상토메 대성당이 있다. 그의 유물은 서방세계로 옮겨져 결국 이탈리아의 오르토나에 안치된 것으로 추측된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토마는 인도-파르티아의 왕인 곤도페르네스를 방문했는데, 이 왕은 그에게 왕궁을 건축하는 책임을 맡겼다고 한다(〈토마행전〉에 보면 토마는 목수였음). 그러나 토마는 왕이 그에게 맡긴 돈을 자선비용에 썼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혔다. 비록 〈토마행전〉의 몇몇 부분은 있음직한 이야기지만 그 증거가 명백하지 않다.

앞서 말한 외경 외에도 토마와 관련되거나 그의 것이라고 생각되는 책으로는 〈토마 복음서 Gospel of Thomas〉(1945년 어퍼이집트에서 발견된 콥트 영지주의 사본 중에 들어 있음)·〈강건한 사람 토마의 책 The Book of Thomas the Athlete〉·〈마리아의 죽음에 대한 요한의 메시지 Evangelium Joannis de obitu Mariae〉 등이 있다.

그밖에 1905년 A. E. 메들리콧의 〈인도와 사도 토마 India and the Apostle Thomas〉가 출판되었으며, 1929년 F. A. 드크루즈의 〈인도의 사도 토마 St. Thomas the Apostle in India〉가 출판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토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