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테오도시우스 2세

다른 표기 언어 Theodosius II
요약 테이블
출생 401. 4. 10, 콘스탄티노플
사망 450. 7. 28
국적 동로마

요약 422년, 447년 2차례에 걸쳐 침입해온 페르시아군을 격퇴했다. 402년부터 부왕 동로마 황제 아르카디우스와 함께 공동통치를 했다. 408년 부왕이 죽자 동로마 제국의 단일군주가 되었지만, 처음에는 민정통독인 안테미우스, 이후 누나 풀케리아가 섭정을 했다. 통치시대 내내 그는 한 번도 직접 국정을 관리해본 적이 없었다.
테오도시우스는 3가지 사업으로 자신의 이름을 남겼다. 첫째, 413년 콘스탄티노플 주위에 난공블락의 성을 쌓은 일인데, 사실은 안테미우스가 한 일이었다. 둘째, 425년 콘스탄티노플 대학을 건립했고, 셋째, 312년 이후 제정된 법령들을 성문화한 테오도시우스 법전 편찬을 감독했다. 그는 사냥 중 사고를 당해 죽었다.

온화한 성품에 학문을 좋아했으나 남의 말에 쉽게 잘 넘어가 인척들과 대신들의 손에서 번갈아 국정이 이루어졌다.

동로마 황제 아르카디우스(383~408 재위)의 아들인 그는 402년부터 부왕과 함께 공동통치를 했으나 408년 부왕이 죽자 동로마 제국의 단일군주가 되었다. 처음에는 어린 테오도시우스를 위해 동로마의 민정총독인 안테미우스가 섭정을 했으나 그는 414년에 쫓겨나고 누이인 풀케리아가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로 섭정을 했다. 통치시대 내내 그는 한번도 직접 국정을 관리해본 적이 없었다. 테오도시우스는 통치기간중 아프리카의 반달족과 페르시아, 그리고 훈족을 막기 위해 여러 번 군대를 보냈다. 그의 군대는 422, 447년 2차례에 걸쳐 침입해온 페르시아군을 격퇴했으나 로마의 아프리카 영토 대부분을 차지하고(429) 있던 반달족에 대해 벌인 군사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테오도시우스는 훈족의 강력한 지도자인 아틸라에 대해 회유정책을 폈으나 훈족은 441~443, 447년에 각각 도나우 강 지방으로 대대적인 공격을 해왔다. 또한 그가 428년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로 임명한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적인 교리를 내세우자 이에 대한 분쟁으로 인해 큰 논란이 일기도 했고, 네스토리우스는 431년 공의회에서 해임당했다.

테오도시우스는 3가지 사업에 그의 이름을 남겼다. 첫째, 413년 콘스탄티노플 주위에 난공불락의 성을 쌓은 일인데 사실은 안테미우스가 한 일이었다. 둘째, 425년 콘스탄티노플 대학을 건립한 것으로, 그는 실제로 이 일에 관여했다. 셋째, 312년 이후 제정된 법령들을 성문화한 테오도시우스 법전(438 간행) 편찬을 감독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는 사냥중 사고를 당해 죽었고, 딸 리키니아 유독시아는 서로마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425~455 재위)와 결혼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테오도시우스 2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