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테오도시우스

다른 표기 언어 Theodosius of Alexandria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566. 6, 콘스탄티노플
국적 알렉산드리아

요약 금욕주의와 신비주의적인 기도로 유명한 단성론파 지도자이다. 비잔틴 제국 황후 테오도라의 지원을 받아 단성론파 가운데 온건파 후보로서 총대주교에 선출되었다. 신비주의와 그리스도를 영적으로 해석한 신앙을 지지했으며, 유티케스의 가르침, 극단적인 단성론자들, 그들이 내세운 총대주교 후보자들을 반대했다.
황제의 군대가 극단적인 단성론파를 알렉산드리아에서 몰아낼 때, 도망쳐 535년 5월말까지 근처 수도원에 피신해 있었다. 남은 생애를 콘스탄티노플에서 황제의 감시를 받으며 사는 바람에 총대주교직을 수행할 수 없었다. 연금되어 있는 동안에도 계속 단성론파 교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이 교회의 주요대변인이었던 세베루스가 죽은 뒤부터는 비잔틴 제국 전역에 대해 단성론파 교회의 수장으로 떠올랐다.

금욕주의와 신비주의적인 기도로 유명한 이집트 및 시리아의 단성론파 지도자이다. 비잔틴 제국 황후 테오도라의 지원을 받아 단성론파 가운데 온건파 후보로서 총대주교에 선출되었다.

동료이자 안티오크의 학식 있는 총대주교 세베루스와 함께 신비주의와 그리스도를 영적으로 해석한 신앙을 지지했으며, 유티케스의 가르침, 극단적인 단성론자들, 그들이 내세운 총대주교 후보자들을 반대했다. 그러나 황제의 군대가 극단적인 단성론파를 알렉산드리아에서 몰아낼 때 대중으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자 알렉산드리아에서 도망쳐 535년 5월말까지 근처에 있는 수도원에 피신해 있었다. 그뒤 합법적인 총대주교라는 판결을 받았으나 비타협적인 단성론파를 동정하는 알렉산드리아의 여러 계층에게서 배척당했다.

536년 12월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그를 콘스탄티노플로 불러 451년에 열렸던 칼케돈 공의회가 공포한 정통 그리스도론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했다. 그는 온건한 단성론을 버리고 그 공의회 법령을 받아들일 수 없었으나, 자기 견해를 철회하라고 강요받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사상을 가진 단성론파 성직자들과 함께 남은 생애를 콘스탄티노플에서 황제의 감시를 받으며 사는 바람에 결국 총대주교직을 수행할 수 없었다. 연금되어 있는 동안에도 계속 단성론파 교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이 교회의 주요대변인이었던 안티오크의 세베루스가 죽은 뒤부터는 비잔틴 제국 전역에 대해 단성론파 교회의 수장으로 떠올랐다.

정통신앙파 황제와 정면대결을 피하면서 안티오크·시리아(야코부스파 교회)·이집트(콥트 교회) 등의 독립교회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영향을 끼쳤으며 이 지역의 선교활동을 촉진시켰다. 565년 황제 유스티누스 2세가 즉위하자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가도 된다는 허락을 받았으나 떠나기 전에 죽어 총대주교의 예우를 받으며 콘스탄티노플에 묻혔다. 비잔틴 유배시절 세 신을 믿는 삼신론파와 그리스도도 그릇된 지식을 가질 수 있다고 믿은 무지파 같은 이단을 반박하는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현존하는 저서 중에는 콥트어로 쓴 설교들과 비잔틴 주요인물들에게 보낸 온건한 단성론 교리 해설집들이 있다. 이 저서들은 J.-P. 미뉴가 편집한 〈그리스 교부선집 Patrologia Graeca〉(1866) 제86권에 실려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테오도시우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