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탈레반

다른 표기 언어 Taleban

요약 아프가니스탄을 기반으로 하는 이슬람근본주의 집단. 아프가니스탄 남부 파슈툰족 출신의 보수적 이슬람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정국이 혼란스러웠던 아프가니스탄에 출현, 1996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하여 극단적인 이슬람근본주의를 바탕으로 통치했다. 그러나 이후 비이슬람문화에 대한 배격과 문화유물·유적의 파괴, 여성인권의 극단적 제한 등으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2001년 9·11 테러 사건 이후 미국의 공격을 받아 축출되었다. 이후 근거지 인근에서 지속적인 테러 활동을 벌이면서 미국과 무력 긴장상태를 계속하다가 2020년 2월 평화협정을 맺고 전쟁의 종식을 선언했으나 4월의 포로 협상이 결렬되면서 무장 충돌이 계속되었다. 2021년 미군의 철수 계획 발표 후 아프가니스탄 전역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으며, 8월 15일 탈레반의 카불 입성을 앞두고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밝히고, 8월 30일 미군이 철수를 완료하면서 탈레반이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했다.

탈레반

ⓒ Getmilitaryphoto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이슬람근본주의 집단. '탈레반'은 파슈토어로 '학생들'이란 뜻이며 '탈리반(Taliban)'이라고도 한다. 소련군 철수, 공산정권 붕괴, 내전 돌입으로 아프가니스탄이 혼란스러웠던 1990년대 중반에 출현, 이슬람교 율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극단적인 이슬람 근본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2001년 9.11 사태 이후 우사마 이븐 라딘의 인도를 거부하다가 미국의 공격을 받아 정권이 붕괴되었다. 이후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 세력을 유지한 채 인근 파키스탄 등에서 산발적인 테러를 벌이면서 미국 및 국제사회와 무력으로 대립하다가 2020년 2월 말 미국과 전쟁 종식의 협정을 맺었으나, 2021년 미군의 철수와 함께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했고, 8월 15일 정부가 항복을 선언하면서 사실상 아프가니스탄의 재집권에 성공했다.

역사

'탈레반'이란 이름은 구성원이 대부분 마드라샤에 다니던 학생들인 데서 유래했다. 마드라샤는 1980년대 파키스탄 북부 아프가니스탄 난민촌에 세워진 이슬람 신학교이다. 탈레반은 1994년 아프가니스탄 남부 칸다하르 지방에서 질서를 잡는 군사활동을 전개하며, 재빨리 남부 지방을 지배하던 군벌을 몰아냈다. 1996년말 해외에 있는 보수적인 이슬람 분파의 지원과 아프가니스탄 남부 파슈툰족의 지지에 힘입어 수도 카불을 점령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북부의 타지크족, 서부의 우즈베크족, 중부의 하자라족 등 비파슈툰족들은 탈레반에 계속 저항했다. 이들은 파슈툰족으로 구성된 탈레반의 집권이 전통적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한 파슈툰족의 집권 연장이라고 여겼다. 2001년 무렵 탈레반은 일부 북부지역을 제외한 전국을 장악하고, 극단적인 이슬람근본주의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2001년 3월에는 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미안 석불을 폭파했으며 이후 비이슬람 문화유적에 대한 대대적인 파괴를 자행했다.

국제사회는 탈레반의 각종 사회정책, 여성의 사회활동 억제, 바미안 석불과 같은 비이슬람 종교 유적 파괴, 범죄자에 대한 가혹한 처벌 등을 비판했으며 탈레반 정권을 인정한 나라는 극소수였다. 무엇보다 탈레반은 수차례에 걸쳐 미국인에 대해 테러를 가한 혐의로 기소된 우사마 이븐 라딘과 같은 이슬람 전사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되었다.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 시에 있는 세계무역센터와 워싱턴 시 국방부 건물에 대한 비행기 테러가 발생하자, 미국은 우사마 이븐 라딘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탈레반 정권에 그를 인도할 것을 요구했다. 탈레반 정권은 미국의 요구를 거부했고, 미국은 곧 아프가니스탄을 폭격하며 전쟁에 돌입했다(→ 9·11 미국 테러 사건). 미국 주도의 일부 서방국가와 아프가니스탄의 반군세력인 북부동맹이 이 전쟁에 합세한 끝에 2001년 11월 탈레반 정권은 붕괴했다.

현황

탈레반 정권 축출 이후 아프가니스탄에는 여러 정파가 연합한 임시정부가 들어섰다. 하지만 탈레반은 남부 아프가니스탄을 중심으로 세력을 유지하면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의 지역에서 지속적인 테러 활동을 벌였다. 이에 따라 미국이 주도해 탈레반 세력과 무력으로 대립해온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국지적, 산발적으로 지속되었으나 2020년 2월 29일 미국과 평화협정을 맺고 전쟁의 종식을 선언했다.

하지만 2020년 4월에 있었던 포로 협상이 결렬된 후,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 정부군과 무력 충돌을 벌이기 시작했다. 평화협정에 따라 미국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철수를 추진하자 탈레반 세력의 지역 점거가 계속되었고, 2021년 8월 31일 목표로 미군의 철수가 진행되자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의 전 지역을 장악했다. 8월 15일 탈레반이 수도 카불 점령을 앞둔 상황에서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평화롭게 정권을 이양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항복을 선언함으로써, 아프가니스탄의 정권은 다시 탈레반이 장악하게 되었다. 8월 30일 미군이 철수를 완료하자 탈레반은 정부 조직을 시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탈레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