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9. 11. 14, 이집트 마가가 |
---|---|
사망 | 1973. 10. 28, 카이로 |
국적 | 이집트 |
요약 이집트의 작가.
이집트 문학에서 모더니즘 운동의 대표적 인물이다. 아랍어로 장편·단편 소설, 비평, 사회적·정치적 수필 등을 썼다.
국외에서는 자서전 〈알 아이암 al-Ayyam〉(2부작, 1929~32)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것은 서양에서 갈채를 받은 최초의 현대 아랍 문학 작품으로, 영어판으로는 〈한 이집트인의 어린시절 An Egyptian Childhood〉(1932)과 〈세월의 흐름 The Stream of Days〉(1943)으로 나왔다.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2세 때 질병으로 실명했다.
1902년 카이로의 일류 정통 고등 이슬람교 교육원인 알아자르 신학교에 보내지지만 곧 현저하게 보수적인 학교당국과 사이가 좋지 않게 되었다. 1908년 새로 개교한 카이로의 일반 대학교에 입학하여 1914년 그 대학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소르본대학교에서 공부를 계속하여 서양문화에 익숙해지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이집트로 돌아와 카이로대학교의 아랍 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재직하는 동안 종교적 보수주의자들을 격분시킨 대담한 견해로 종종 논쟁을 일으켰다. 〈이슬람 이전의 시에 대해 Fi sh-Shi' al-Jahili〉(1926)에서는 현대적 비평방법을 적용하여 격렬한 논쟁에 빠져들었다. 이 책에서 그는 이슬람 이전의 시로 간주되는 많은 시들이 여러 가지 이유에서 후대의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꾸며진 것이며 그 이유 중 하나는 〈코란〉 신화를 믿게 하려는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그는 배교자로 낙인찍혔다. 또다른 저서 〈이집트 문화의 미래 Mustaqbal al-thaqāfah fῑ Miṣr〉(1938)에서는 이집트가 그리스·이탈리아·프랑스를 포함하는 더 넓은 지중해 문화권에 속한다는 믿음을 피력함으로써 현대 유럽 문화의 동화를 주창했다.
군주제가 무너지기 전 와프드당에 의해 구성된 마지막 정부에서 교육장관으로 재직하면서(1950~52) 국가 교육을 널리 확대했고 수업료를 폐지했다. 후기 작품에서는 가난한 자의 역경과 적극적인 정부 개혁에 대해 점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78세 되던 해인 1967년 회고록 〈무드하키라트 Mudhakkirat〉를 발표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