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클레멘스(7세)

다른 표기 언어 Clemens VII
요약 테이블
출생 1342, 제네바
사망 1394. 9. 16, 프로방스 아비뇽

요약 약 40년간 로마 가톨릭 교회를 혼란스럽게 했던 서방교회 대분열 기간 중의 첫 대립교황(1378~94 재위).
(영). Clement(Ⅶ). 본명은 Robert de Gen대체이미지ve.

1361년부터 아르투아의 테루안 주교로 일했으며, 1368년 북해 연안의 저지대 지방의 캉브레 대주교가 되었고, 1371년 추기경이 되었다. 북부 이탈리아에서 교황특사로 있으면서(1376~78), 1377년 체세나를 약탈하여 약 4,000명의 교황 반대자들을 학살했다. 그는 인기가 없던 이탈리아 출신 교황 우르바누스 6세의 선출을 무효라고 선언한 추기경들의 지도자였으며, 1378년 9월 20일 교황령 폰디에서 클레멘스 7세라는 이름으로 대립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 해말 프랑스는 클레멘스를 지지했고, 잉글랜드는 우르바누스를 지지했다. 그러자 유럽의 국가들은 누구를 교황으로 인정하느냐 하는 문제로 분열되었다. 동방교회는 일반적으로 클레멘스 편에 섰다. 클레멘스는 로마의 산탄젤로 성을 점령하고 있던 프랑스 용병의 도움을 얻어 우르바누스를 바티칸에서 축출하려고 했으나, 1379년 4월 산탄젤로가 함락되자 나폴리로 피신했다. 그곳 여왕 조반나 1세는 그를 교황으로 인정했으나 나폴리 시민들은 우르바누스를 더 좋아했다. 클레멘스는 아비뇽에 정착했다.

교회에 2명의 교황이 있게 되자 어느 교황에게 복종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심한 혼란이 일어났으며, 이 문제에 대한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견해 차이는 백년전쟁을 더 오래 끌게 된 요인이 되었다. 특히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정치에 간섭할 기회를 얻었다. 프랑스의 현명왕 샤를 5세는 클레멘스를 교황으로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클레멘스가 죽을 때(1394. 9. 16) 그를 '교회의 참된 목자'라고 선언하여 클레멘스는 자신이 합법적인 교황이라고 확신하며 죽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클레멘스(7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