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크리켓

다른 표기 언어 cricket

요약 13세기 영국에서 유래된 경기로 알려졌다. 1774년 경기 규칙이 만들어졌으며, 1787년 영국 크리켓 연맹본부가 창립되었다.
경기장 중앙에는 길이 20m, 너비 3m의 피치 구역이 있다. 피치 구역 양 끝에는 3개의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워 만든 주문이 있고 그 위에 2개의 가로장이 놓여 있다. 투수가 반대편 주문으로 공을 던져서 가로장을 떨어뜨리면 타자가 아웃된다. 타자는 자기편의 주문을 지키기 위해 투수가 던지는 공을 쳐내야 한다. 타구를 잘 쳐서 타자와 상대편 주문에 있던 동료선수가 피치 구역을 가로질러 달려가 서로 자리를 바꾸게 되면 1점을 얻는다. 타자는 6번까지 자리를 바꾸어 6점까지 득점할 수 있다. 각 팀은 1회의 타격 기회를 갖고 주장을 제외한 10명의 타자가 모두 아웃되면 한 회가 끝난다.

크리켓(cricket)

크리켓 경기 모습

ⓒ Rosli Othma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기장 한가운데 2개의 주문(柱門)이 세워져 있으며 각 1명의 타자가 문을 지키게 된다. 투수는 공을 던져서 주문을 맞히거나 그밖의 방법으로 타자를 아웃시키려고 한다. 투구법은 팔을 쭉 뻗어 머리 위로 올렸다가 공을 던지는 식이다. 타자가 아웃당하지 않고 반대편 주문에 있던 같은 팀의 타자와 위치를 바꾸게 되면 득점이 인정된다.

크리켓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지만 13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다는 추측이 유력하다. 1774년 최초의 경기규칙이 만들어졌으며, 1787년에 세계 크리켓 관장기구인 영국 크리켓 연맹본부(Marylebone Cricket Club)가 창립되었다. 1719년에 미들섹스 주(지금은 그레이터런던의 일부로 편입되어 있음)의 한 크리켓 팀과 켄트 주의 한 크리켓 팀이 경기를 했던 것을 계기로 전국적 규모의 크리켓 시합이 생기게 되었다.

영국의 식민지 사업이 활발하던 시기에 크리켓은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파키스탄,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인도제도 등이 영국과 함께 국제 크리켓 결승전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주요국가들이다.

크리켓 경기장의 중앙에는 길이 20m, 너비 3m의 피치 구역이 있다. 피치 구역 양 끝에는 3개의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워 만든 주문이 있고 주문 위에는 2개의 가로장이 놓여 있다. 투수가 반대편 주문으로 공을 던져서 주문 위에 있는 가로장을 떨어뜨리면 타자는 아웃된다. 타자는 자기편의 주문을 지키기 위해 투수가 던지는 공을 야수가 잡을 수 없도록 쳐내려고 한다. 타구를 잘 쳐서 타자와 상대편 주문에 있던 동료선수가 피치 구역을 가로질러 달려서 서로 자리를 바꾸게 되면 1점을 득점한다.

타자들은 6번까지 자리를 바꾸어 6점까지 득점할 수 있다. 야수들은 상대편의 득점을 저지하기 위해 공을 주문에 던져서 타자나 그와 짝을 이루는 선수를 아웃시키려고 한다. 한 경기는 여러 회로 나누어진다. 1일 단위로 하는 시합은 대개 2회전으로 이루어진다. 각 팀은 1회의 타격 기회를 갖고 주장을 제외한 10명의 타자가 모두 아웃되면 한 회가 종료된다. 그러나 국제대회에서는 한 시합이 5, 6일씩 계속되어 200점이 넘는 대규모 득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크리켓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