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82. 12. 16, 헝가리 케츠케메트 |
---|---|
사망 | 1967. 3. 6, 부다페스트 |
국적 | 헝가리 |
요약
코다이는 작곡가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중요한 스승이었으며 제자들을 통해 헝가리 음악교육 보급에 크게 이바지했다. 그는 헝가리 민속음악과 당시의 프랑스 음악,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음악에서 유래한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형성했으며 낭만주의적 색채를 띤다.
오늘날 자주 연주되는 작품으로는 <헝가리 시편>(1923), 희극 오페라 <하리 야노슈>(1926), 관현악을 위한 2개의 헝가리 무곡집 <모로슈세크 무곡>(1930), <갈란타 무곡>(1933), <테데움>(1936),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41), <미사 브레비스>(1942), 오페라 <친카 판나>(1948), 교향곡 C장조(1961)가 있다. 실내악곡으로는 2곡의 첼로 소나타(1909~10, 1915), 2곡의 현악4중주곡(1908, 1916~17), 2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세레나데>(1919~20) 등이 있다.
작곡가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중요한 스승이었으며 제자들을 통해 헝가리 음악교육 보급에 크게 이바지했다. 그는 노디솜보트(지금의 슬로바키아 트르나바)에서 성가대에 들어갔으며 그곳에서 초기작품들을 썼다. 1902년 부다페스트에서 작곡을 공부했으며 헝가리 민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졸업을 앞둔 해에 첫번째 민요채집 국토여행을 했다.
1906년 헝가리 민요의 구조에 관한 논문으로 부다페스트대학교를 졸업했다. 파리에서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인 샤를 비도르에게 잠시 배운 뒤 1907~41년에 부다페스트 음악원의 작곡이론교수로 있었다. 1906년에 만난 벨라 바르토크와 함께 민요집을 출간했다(1906~21). 그가 수집한 민요는 헝가리 민속음악원(Corpus Musicae Popularis Hungatiae:1951 설립)의 토대를 형성했다.
코다이는 헝가리 민속음악과 당시의 프랑스 음악,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음악에서 유래한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형성했는데, 그의 음악은 낭만주의적 색채를 띠며, 바르토크의 음악보다는 타악기적 색채가 덜하다. 오늘날 자주 연주되는 작품으로는 부도와 페스트가 결합한 50번째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한 〈헝가리 시편 Psalmus Hungaricus〉(1923), 희극 오페라 〈하리 야노슈 Háry János〉(1926), 관현악을 위한 2개의 헝가리 무곡집 〈모로슈세크 무곡 Marosszék Dances〉(1930)·〈갈란타 무곡 Dances of Galánta〉(1933), 〈테데움 Te Deum〉(1936),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41), 〈미사 브레비스 Missa Brevis〉(1942), 오페라 〈친카 판나 Cinka Panna〉(1948), 교향곡 C장조(1961)가 있다.
실내악곡으로는 2곡의 첼로 소나타(1909~10, 1915), 2곡의 현악4중주곡(1908, 1916~17), 2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세레나데〉(1919~20) 등이 있다. 그는 민족지와 음악잡지에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으며 〈헝가리의 민속음악 Die ungarische Volksmusik〉(1956) 같은 학술적 저술을 남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