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코기토 에르고

다른 표기 언어 cogito, ergo sum 동의어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요약 1637년 르네 데카르트가 확실한 지식의 획득 가능성을 논증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은 격언.

코기토 에르고 숨

ⓒ zapomicro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데카르트의 주저 〈방법서설 Discours de la méthode〉에서 그가 자신의 철학 제1원리로 명명한 격언으로서 방법적 회의라고 하기도 한다. 데카르트는 이 진술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왜냐하면 만약 전능한 악마가 있어서 내가 존재하지 않는데도 내가 존재하는 것처럼 나를 속일 경우에도 악마가 나를 속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가 존재해야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생각할 때는 언제나 나는 존재한다. 데카르트는 더 나아가 "나는 존재한다(sum)"라는 진술은 의심스러운 추론의 결론이 아니라 직접적인 직관을 표현하며, 따라서 결코 의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내가 아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나는 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코기토 에르고 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