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카슈미르 계곡과 그 주변의 고원지대에서 사용하는 언어.
원래 다르드 제어에 속하는 언어이지만, 인도아리아어의 특성을 많이 갖게 되었다. 카슈미르어의 어휘는 이 지역의 역사를 반영하여, 다르드어·산스크리트·펀자브어·페르시아어 등의 요소를 고루 포함하고 있다. 어휘와 문자 선택에서 종교적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다.
이슬람교도들은 페르시아어 낱말과 아랍어 낱말을 자유롭게 선택한다. 이들은 또한 페르시아 문자 형태를 이용하여 카슈미르어를 표기하지만, 페르시아 문자에는 카슈미르어의 모음을 표기하는 데 필요한 기호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 문자는 사실 카슈미르어를 표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교육을 받은 카슈미르인의 대다수는 힌두교도이다. 이들은 산스크리트에서 유래한 낱말을 더 좋아하고, 카슈미르어를 인도에서 생겨난 문자인 사라다 문자로 표기한다. 책은 데바나가리 문제로 인쇄된다.
카슈미르어로 씌어진 문학작품은 그리 많지 않다. 실제로 사용되는 중요한 방언은 키슈트와리어·포굴리어·람바니어뿐이다(→ 페르시아어, 산스크리트어, 사라다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