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vagina ,

요약 사람의 질은 월경 배출 통로와 분만시 산도의 기능도 담당한다. 질의 길이는 9㎝ 정도이고, 윗부분은 자궁목과 연결되어 있다. 질의 바깥쪽 입구는 처녀막이라고 하는 얇은 주름 조직으로 막혀 있다. 내벽 두께는 난소에서 나오는 에스트로겐의 양에 따라 변한다. 내벽에 있는 질점막주름으로 인해 질강의 팽창이 가능한데, 나이 든 여성이나 분만 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는 이 주름이 없다. 내벽 세포는 많은 양의 글리코겐을 함유하고 있는데, 질내 세균은 글리코겐을 발효시켜서 젖산을 만들어낸다. 젖산은 질 입구로 들어온 병원체에 대한 방어역할을 한다. 근육벽은 성교시 음경의 움직임을 쉽게 하고 분만시 아이가 잘 지나갈 수 있도록 두껍고 탄력성이 있다. 질병에는 세균감염증·궤양·탈출증 등이 있고 종양이 생길 수도 있다.

사람의 경우 월경 배출 통로와 분만시 산도(産道)의 기능도 담당한다.

사람의 경우 질의 길이는 9㎝ 정도이고 직장 앞, 방광 뒤에 놓여 있으며, 질의 윗부분은 자궁목과 연결되어 있다. 질은 상단과 말단이 좁고 대부분의 처녀들은 질의 바깥쪽 입구가 처녀막이라고 하는 얇은 주름 조직으로 막혀 있다. 질 입구는 부분적으로 대음순으로 덮여 있다.

질강의 내벽은 여러 난소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새로운 세포층을 쌓거나 오래된 세포층을 탈리시키는 등의 반응을 한다. 내벽의 두께는 난소에서 나오는 에스트로겐의 양에 따라 변한다. 즉 배란기(난소에서 난자를 배출할 때)와 임신기 동안에 가장 두껍고 탄력이 있다. 질 내벽에는 특징적으로 질점막주름이라고 알려진 몇 개의 가로주름이 있는데, 이 주름으로 인해 질강의 팽창이 가능하다. 나이가 든 여성이나 이미 아이를 낳은 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는 이 주름이 없다. 질벽에는 샘이 없다. 질에서 윤활제 역할을 하는 점액은 주로 자궁목이나 음순의 바르톨린선(Bartholin's gland) 때문이라고 알려져왔다. 그러나 광범위한 임상관찰을 통해 1966년 윌리엄 H. 마스터스와 버지니아 존슨은 성적 흥분시에 생기는 질의 점액은 질벽을 통해 점액성 액체가 스며나오기 때문이라고 보고했다. 질 내벽의 세포는 많은 양의 글리코겐을 함유하고 있는데, 질내의 세균은 이 글리코겐을 발효시켜서 젖산을 만들어낸다. 젖산은 질내막의 표면을 약산성으로 만들며, 이는 질 입구로 들어온 병원체에 대한 방어역할을 한다. 질의 근육벽은 성교시 음경의 움직임을 쉽게 하고 분만시 아이가 잘 지나가게 하기 위해 두껍고 탄력성이 있다. 근육벽은 약한 속돌림층과 튼튼한 바깥세로층의 2층 근육섬유로 되어 있다. 근육조직은 혈관·림프관·신경섬유로 구성된 결합조직으로 덮여 있고 이 결합조직층은 방광, 직장 및 다른 골반 조직과 연결되어 있다. 질에 생기는 질병에는 세균감염증(→ 질염)·궤양·탈출증(질의 내부가 질입구 밖으로 돌출된 상태) 등이 있고 때로는 종양이 생길 수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식/비뇨기

생식/비뇨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