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진안고원

다른 표기 언어 鎭安高原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있는 고원. 면적 290㎢, 높이 300~500m로, 동쪽 소백산맥에는 민주지산(1,242m)·대덕산(1,290m)·삼봉산(930m)·덕유산(1,614m) 등이 솟아 있고, 서쪽 노령산맥에는 대둔산(878m)·운장산(1,126m)·만덕산(762m) 등이 솟아 있다. 기반암은 대부분 화강암질 편마암이며 주변산지는 퇴적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호남의 지붕이라고 일컬어지는 이곳에서 금강과 섬진강이 발원한다. 고도가 높아 배추·무 등의 고랭지농업이 발달했으며 쌀·보리·조·콩 등 농산물이 풍부하고, 특용작물로 담배·인삼이 있다. 지형성 강우지역으로 비와 눈이 많다. 예로부터 목공·죽세공·제지·직조 등의 공업이 발달했으며 금·은·구리·아연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무주군·장수군에 걸쳐 있는 고원. 면적 290㎢, 높이 300~500m로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있다. 동쪽 소백산맥에는 민주지산(1,242m)·대덕산(1,290m)·삼봉산(930m)·덕유산(1,614m) 등이 솟아 있고, 서쪽 노령산맥에는 대둔산(878m)·운장산(1,126m)·만덕산(762m) 등이 솟아 있다.

중생대 쥐라기말 대보조산운동과 백악기의 지각변동에 의해 심한 습곡작용·단층작용·변성작용을 받아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소백산맥·노령산맥이 형성될 때 그 사이 지역이 함께 융기하면서 주변에서 중부로 점차 낮아진 접시 모양의 분지성 고원을 이루었다. 기반암은 대부분 화강암질편마암이며 주변산지는 퇴적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호남의 지붕이라고 일컬어지는 이곳에서 금강과 섬진강이 발원한다. 금강은 장수읍 수분리에서 발원하여 진안고원과 덕유산지역에서 흘러오는 구리향천·정자천 등을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금강의 상류는 심한 감입곡류를 하면서 무주구천동 등 곳곳에 수려한 계곡을 만들고 있다. 또한 이들 하천의 개석으로 진안·무주·장수 등 많은 산간 침식분지가 생성되었다. 분지는 곡저면·단구면·산록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곡저면은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단구면과 산록면은 주로 밭으로 이용된다.

고도가 높아 배추·무 등의 고랭지농업이 발달했다. 또한 쌀·보리·조·콩 등 농산물이 풍부하고, 특용작물로 담배·인삼이 있으며 양잠도 행해진다. 지형성 강우지역으로 비와 눈이 많다. 예로부터 목공·죽세공·제지·직조 등의 공업이 발달했으며 금·은·구리·아연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마이산도립공원을 포함하며, 동쪽으로는 덕유산국립공원에 인접해 있어 관광지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 특히 진안은 교통의 요지로 대구·전주 등지로 연결되는 도로가 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북도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진안고원

진안군 가볼만한 곳

추천항목


[Daum백과] 진안고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