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충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1985년에 완공되었다. 주요시설물은 본 댐과 제1수력발전소, 제2수력발전소, 조정지 댐 등이다. 제1발전소의 본 댐은 높이 97.5m, 길이 464m, 유역면적 6,648㎢, 총저수량 27억 5,000만㎥의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발전소 시설용량은 40만kW로, 연간 7억 6,460만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제2발전소는 높이 20m, 길이 480.7m의 조정지를 조성했다. 발전소 시설용량은 1만 2,000kW이며, 연간 7,950만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6억㎥의 홍수조절능력을 갖추었으며, 연간 33억 8,000만㎥의 용수를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공급하고 연간 8억 4,410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충주 댐 건설로 많은 지역이 수몰되었으나 충주호가 형성되어 관광자원 개발과 내수면 어업을 증진시켰다.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및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한강수계가 보유하고 있는 수자원을 개발하여 수도권을 비롯한 댐 하류지역에 생활, 공업 및 관개 용수를 공급하며, 발전 및 홍수조절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충주댐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요시설물은 본 댐과 제1수력발전소, 제2수력발전소, 조정지 댐 등이다(→ 충주수력발전소).

제1발전소의 본 댐은 남한강 중류인 충주시 북동쪽 약 6km 지점에 있으며, 높이 97.5m, 길이 464m, 용적 90만 2,000㎥, 유역면적 6,648㎢, 총저수량 27억 5,000만㎥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이다. 발전소의 시설용량은 40만kW로 10만kW급 4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7억 6,460만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제2발전소는 본 댐 하류 16km 지점인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에 있으며, 높이 20m, 길이 480.7m의 문비언제식 조정지를 조성했다. 발전소의 시설용량은 1만 2,000kW로 6,000kW급 2기로 구성되어 연간 7,950만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이 발전소는 제1발전소에서 원격조정하는 무인발전소로, 생산된 전력은 제1발전소의 전력과 함께 제1발전소의 옥외변전소를 통해 한국전력에 공급된다.

이 댐은 6억㎥의 홍수조절능력을 갖추고 있어 한강 인도교의 수위를 1m가량 낮춰 팔당 댐 하류지역과 남한강 유역의 도시와 산업시설 및 농경지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연간 33억 8,000만㎥의 용수를 서울, 인천 및 수도권 지역에 공급하며, 연간 8억 4,410kWh의 전력을 생산해 약 100만 3,000배럴의 유류 대체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충주에서 단양에 이르는 내륙 호수인 충주호를 형성해 관광자원 개발과 내수면 어업을 증진시키고, 내륙수운의 발달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북도

충청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충주댐


[Daum백과] 충주 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