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067년(문종 21) |
---|---|
사망 | 1139년(인종 17) |
국적 | 고려, 한국 |
요약 고려의 의인·문신.
탐진(耽津, 지금의 전라남도 강진) 출신이다. 아버지는 장사작감 정(靖)으로서 의술로 벼슬에 올랐다.
최사전도 처음에 내의로 있다가 여러 벼슬을 거쳐 소부소감이 되었다. 내의로 있을 때 예종이 등창(背瘡)을 앓자 조그만 종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아 예종이 죽었다. 당시의 재상 한안인(韓安仁)과 문공미의 주장에 따라 처형될 뻔했으나, 인종의 명으로 2년 도형에 처해졌다.
이에 한안인과 문공미에게 원한을 품고 이자겸(李資謙)에게 그들을 모함하여 귀양보내게 했다. 그뒤 인종의 명을 받고 이자겸의 심복인 척준경을 찾아가 이자겸을 제거하고 공을 세우라고 설득했다. 이자겸이 제거된 후 병부상서로 추충위사공신이 되었다. 뒤에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르렀다. 인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장경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