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교육제도 |
---|---|
시행일 | 1950년 3월 10일 |
폐지일 | 1977년 12월 31일 |
관련법령 | 교육법 |
요약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창설되었던 단기고등교육기관. 미국의 초급대학 제도에서 유래되어 한국에서는 1950년에 창설되었다.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대책의 부재와 입학자의 감소로 인해 제도적 개편이 요구되었고, 결국 1977년 전문학교와 실업전문고등학교와 함께 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개요
교양있는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단기고등교육기관. 1949년 제정 당시에는 2년제와 4년제로 시행되었는데, 2년제는 고등학교 졸업자를, 4년제는 중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했다. 1977년 개정된 <교육법>에 따라 초급대학과 전문학교, 실업전문고등학교가 전문대학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유래
1920년대 미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실업자, 대학교 중퇴자, 지방청년 등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주고 직업인을 양성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된 초급대학(junior college)에서 유래했다. 초급대학의 형태와 규모는 다양하여 고등학교 최종학년 과정을 포함하는 3년제, 고등학교 최종 2년을 포함하는 4년제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4년제 고등학교에 이어지는 2년제 초급대학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학위는 수여하지 않는다.
변천
한국에서는 임시정부 수립 이후 1949년 12월 <교육법>을 제정했는데 이듬해 개정된 법령에서 중학교에 연계되는 4년제와 고등학교에 연계되는 2년제의 초급대학으로 창설되었다. 이 시기에 설립된 초급대학으로는 신흥초급대학과 덕성여자대학, 청주초급농과대학 등이 있었다. 1951년 3월 <교육법>을 개정하여 중학교를 3년으로 정하고, 6-3-3-4 학제가 완성되자 고등학교에 이어지는 2년제 대학으로 일원화되었다. 1961년 9월 제정된 <교육에 관한 임시특례법>에서는 4년제 대학은 대폭 감소된 반면에, 초급대학은 8개교 23개 학과, 2,960명의 정원에서 24개교 132개 학과 1만 1,160명으로 대폭 증설·증과·증원되었다.
1979년까지의 초급대학의 수적 변화를 살펴보면, 1948년 1개교, 1950년 3개교, 1955년 9개교, 1960년 12개교, 1965년 34개교로 점차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1970년 14개교, 1975년 10개교로 급격하게 감소했다. 졸업자에 대한 취업대책의 부재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선호도의 감소는 초급대학에 대한 제도적인 검토를 시행하게 했고, 결국 1977년 12월 전문학교와 실업전문고등학교와 함께 전문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초급대학 제도는 폐지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교육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