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체아우셰스쿠

다른 표기 언어 Nicolae Ceauşescu
요약 테이블
출생 1918. 1. 26, 루마니아 스코르니체슈티
사망 1989. 12. 25, 부쿠레슈티
국적 루마니아

요약 사회주의체제하의 루마니아의 초대 대통령(1974~89)을 지냈다. 루마니아가 소련 권역에 속한 여러 나라 가운데서 독자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권위적인 중앙집권화 정책을 고수하면서 국민의 표현의 자유와 언론을 통제했으며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루마니아를 비참한 상태로 만들었다. 1989년 일어난 반정부시위로 권력을 잃고 총살형을 당했다.
1930년대초 루마니아 청년공산주의운동원으로 이름이 높았던 그는 1947년 공산당이 정권을 잡자 행정관료가 되었다. 스탈린주의를 신봉하는 루마니아의 독재자 게오르게 게오르기우 데지의 심복으로 알려졌던 그는 곧 당서열 2위가 되었다. 1965년 3월 게오르기우 데지가 죽자 당의 지도자직을 계승하면서 국가수반이 되었다. 1974년 3월에 초대 대통령이 되어 국가평의회 의장과 대통령을 겸임하면서 절대권력을 행사했다.

사회주의체제하의 루마니아의 초대 대통령(1974~89)을 지냈다.

루마니아가 소련 권역에 속한 여러 나라 가운데서 독자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0년대초 루마니아 청년 공산주의 운동원으로 이름이 높았던 체아우셰스쿠는 공산당 활동으로 1936년과 1940년에 투옥되었다. 그는 1944년 8월 파시즘에 반대하는 정변이 일어나기 직전에 탈옥하여 공산주의 청년 동맹의 서기(1944~45)가 되었다. 1947년 공산당이 정권을 잡자, 농무장관(1948~50)이 되었다가 1950~54년 소장 계급장을 달고 국방차관으로 일했다.

스탈린주의를 신봉하는 루마니아의 독재자 게오르게 게오르기우 데지의 심복으로 알려졌던 그는 마침내 공산당 정치국과 서기국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당서열이 제2위로 높아졌다.

1965년 3월 게오르기우 데지가 죽자, 체아우셰스쿠는 그의 뒤를 이어 공산당 제1서기로서 당의 지도자직을 계승했다(서기장직은 1965년 7월부터 맡았음). 그후 1967년 12월에 국가평의회 의장까지 맡게 되자, 그는 바야흐로 국가의 수반이 되었다. 1965년 그가 권력을 잡을 당시에는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지만, 루마니아에 대한 소련의 지배에 공공연히 도전하는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정치 노선으로 곧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1960년대에 루마니아는 사실상 바르샤바 조약 군사동맹에 형식적으로만 참여했을 뿐이며, 체아우셰스쿠는 바르샤바 조약국들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1968)과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1979)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1968년 11월 그는 사회주의 통일전선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74년 3월에 공화국 대통령직이 신설되자 초대 대통령이 되어 국가평의회 의장과 대통령을 겸임하면서 절대권력을 행사했다.

체아우셰스쿠는 외교면에서는 자유주의적이고 독자적인 정책을 추구한 반면 국내 정치에서는 공산당에 의한 권위적인 중앙집권화 정책을 더욱더 엄격하게 고수했다.

그는 비밀경찰조직을 통해 국민의 표현의 자유와 언론매체들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국내의 어떠한 불만세력이나 반대세력도 허용하지 않았다. 1970년대에 그의 정부의 잘못된 경제정책 때문에 생겨난 엄청난 부채를 청산하기 위해 1982년 체아우셰스쿠는 국내에서 생산된 농공산물 가운데 상당량을 수출하도록 조치했다. 그 결과 식품·연료·에너지·의약품을 비롯한 각종 생필품이 극도로 부족하게 되었고, 경제적으로 비교적 부유한 편이었던 루마니아는 아사 일보직전의 비참한 상태로 전락했다. 체아셰스쿠는 또한 자신에 대한 개인숭배를 대대적으로 벌이기 시작했으며, 자신의 권력을 더 공공히 하고자 부인 엘레나를 비롯하여 그의 일가족 가운데 상당수를 정부와 당의 요직에 앉혔다.

그는 실행할 수도 없는 많은 계획들을 과시용으로 발표했는데 그 가운데는 수많은 마을들을 불도저로 밀어버리고 주민들을 새 아파트로 이주시키겠다는 것도 있었다.

1989년 12월 17일 체아우셰스쿠는 티미쇼아라에서 일어난 반정부 시위대에 발포할 것을 군대에 명하여 수많은 사상자를 냈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그의 권력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시위는 부쿠레슈티로 번졌으며 12월 22일 루마니아의 군대는 시위자들에게 굴복했다. 그날 체아우셰스쿠는 부인과 함께 헬리콥터를 타고 수도를 탈출했지만 무장군인들에게 체포되어 다시 호송되어 왔다.

12월 25일 대량 학살을 비롯한 여러 죄목으로 기소된 체아우셰스쿠 부부는 특별 군사법정에서 긴급재판을 받았고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리고 그날 두 사람은 총살형을 당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대통령

대통령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체아우셰스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