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철십자훈장

다른 표기 언어 Iron Cross , 鐵十字勳章

요약 프로이센의 무공훈장.
(독). Eiserne Kreuz.

1813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프로이센 해방전쟁에서 무훈을 세운 군인들을 표창하기 위해 제정했다. 이 훈장은 1870년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때 빌헬름 1세에 의해 부활되었고,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때 다시 제정되었으며,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한 1939년 9월 1일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다시 부활되었다.

원래 이 십자훈장에는 낮은 등급부터 순서대로 이등십자훈장·일등십자훈장·대십자훈장의 세 등급이 있었으며, 대십자훈장은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19번밖에 수여되지 않았다. 빛나는 별 위에 대십자가 있는 특별훈장은 워털루 전투(1815) 후 G. L. 블뤼허 육군원수에게 수여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그것은 그후 1918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육군원수에게 한 번 더 수여되었을 뿐이다.

철십자 시민훈장은 1915년 친독 영국인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을 위해 제정·수여되었다. 제정된 때로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등십자훈장과 이등십자훈장은 571만 9,300개가 수여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 히틀러는 독일인과 독일 우방국 시민들 가운데 빼어난 용기나 지도력을 발휘한 사람에게 수여한다고 공포했다.

최하위급부터 순서대로 이등, 일등, 기사십자, 오크나무잎 기사십자, 오크나무잎과 검 기사십자, 오크나무잎과 검과 다이아몬드 기사십자, 황금 오크나무잎과 검과 다이아몬드 기사십자(1번밖에 수여되지 않았음), 그리고 그보다 더 큰 대십자(1940년의 프랑스 원정 때 공군의 역할을 기리기 위해 헤르만 괴링에게 1번 수여되었음) 등 8등급으로 되어 있었다.

메달의 기본 도안은 변함 없이 주철로 만들어 은테를 두른 몰타 십자도안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의 도안에는 과거에 '1813', '1870', '1914'라는 연도가 새겨져 있던 밑바닥에 '1939'가 식각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때의 메달 뒷면에는 '1813'이 새겨졌다. 제2차 세계대전의 휘장에는 과거의 왕관과 왕의 상징 대신 스와스티카(이미지)가 그려졌다. 1957년부터 서독에서는 스와스티카를 없앤 철십자훈장에 한해서 착용을 허용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철십자훈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