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천궁

다른 표기 언어 Cnidium officinale , 川芎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목 > 미나리과 > 당귀속
원산지 아시아
크기 약 30cm ~ 60cm
학명 Cnidium officinale Makino
꽃말 외로움

요약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중국이며 주로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cm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핀다. 비교적 여름철에 서늘하고 습기가 적절한 지역의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약제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이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천궁(Cnidium officinale)

ⓒ Kurt Stüber/wikipedia | CC BY-SA 3.0

개요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초. 학명은 ‘Cnidium officinale Makino‘이다. '일천궁'이라고도 하며, '천궁'이라는 이름은 중국 '쓰촨성의 궁궁'이라는 데서 유래했는데,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형태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난형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꽃차례각주1) 에 달리며 총포각주3) 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생태

다소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편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하지만 햇볕이 너무 강하고 땅이 말라 가뭄이 심한 곳은 부적합하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고 열매에 날개 같은 능선이 각각 10개가 있는 벌사상자·개회향,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꽃차례각주5) 가 아닌 갯사상자가 자생한다.

활용

한방 약재로 사용하는 뿌리줄기는 길이 2~7cm, 지름 2~5cm이며 흔히 목심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하며 도처에 평행한 나이테와 같은 무늬와 뿌리흔적이 있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방향(芳香)이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 알코올, 페놀성 물질, 새다논산 등이 있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에 작용한다.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거풍지통(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과소월경·무월경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혈허증상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활혈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양혈약을 배합한다. 천궁의 성미는 신산(辛散)하여 거풍력이 강하므로 주로 풍한감의 두통이나 풍습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모든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정서적 자극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간의 기운이 뭉쳐지는 간기울결로 인한 어혈두통이 생겼을 때 몇 가지 약재와 배합하여 뭉친 혈액을 원활하게 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다.

풍습이나 기체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신경염·뇌혈관연축·뇌혈전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신경염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그러나 월경이 너무 많거나 출혈성 질환, 음기가 허할 때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다발성신경염·뇌혈관연축·뇌혈전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신경염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그러나 월경이 너무 많거나 출혈성 질환, 음허화왕(陰虛火旺) 등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천궁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천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