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존재 그 자체, 즉 모든 실재의 기본 특성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
존재론이라는 용어는 17세기에 처음 쓰였지만, BC 4세기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한 형이상학 또는 '제1철학'과 같은 의미이다. 그러나 형이상학이 철학적 우주론이나 철학적 심리학 등의 분야까지 포함하면서부터 존재론은 주로 존재에 대한 연구에 한정된 용어가 되었다.
존재론은 18세기 독일의 합리론자 크리스티안 볼프에 이르러 크게 부각되었다. 볼프는 존재론을 존재의 본질에 대한 필연적 진리를 제시하는 연역이론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의 위대한 계승자 이마누엘 칸트는 존재론이 연역체계라는 점과 최상의 완전한 존재로서 신의 필연적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을 한꺼번에 반박함으로써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세기에 들어와 형이상학의 혁신과 더불어 존재론 또는 존재론 사상은 다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현상학자와 실존주의자, 특히 마르틴 하이데거는 존재론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사상가로 꼽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