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자비

다른 표기 언어 maitri-karuna , 慈悲

요약 자(慈)는 사랑의 마음으로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산스크리트 마이트리는 벗이라는 뜻의 산스크리트 미트라에서 유래한 말로서 진실한 우정을 뜻한다. 비(悲)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것으로, 산스크리트 카루나는 공감, 동정, 연민 등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세계를 대하는 태도로서 지혜를 바탕으로 하는 자비의 정신을 강조하여 인간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와 무생명체에 이르기까지 무차별적인 자비를 베푸는 것을 가르친다. 자비심을 일으키는 단계에 따라 중생연자비·법연자비·무연자비의 3연자비로 구분된다. 자비의 정신은 자·비·희·사의 4가지 무량한 마음을 일으키는 사무량심으로도 표현되는데, '무량'은 무량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며 무량한 복을 가져온다는 의미가 있다.

자비

ⓒ Napalai Studi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慈)는 사랑의 마음으로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산스크리트 마이트리(maitrῑ)는 벗이라는 뜻의 산스크리트 미트라(mitra)에서 유래한 말로서 진실한 우정을 뜻한다. 비(悲)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것으로, 산스크리트 카루나(karunā)는 공감, 동정, 연민, 함께 슬퍼함 등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세계를 대하는 태도로서 지혜를 바탕으로 하는 자비의 정신을 강조하여 인간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와 무생명체에 이르기까지 무차별적인 자비를 베푸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자비심을 일으키는 단계에 따라 중생연자비(衆生緣慈悲)·법연자비(法緣慈悲)·무연자비(無緣慈悲)의 3연자비(三緣慈悲)로 구분된다.

① 중생연자비 : 중생의 개별적인 모습을 보고 연민의 마음을 일으키고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생각하여 베푸는 자비로서 범부나 아직 번뇌를 끊지 못한 이가 행하는 자비이다. ② 법연자비 : 일체제법(一切諸法)이 5온(五蘊)의 화합하여 생겨난 공(空)한 것임을 깨닫고 베푸는 자비로 번뇌가 끊어진 성자(聖者)가 일으키는 자비이다. ③ 무연자비 : 온갖 차별된 견해를 여읜 절대평등의 경지에서 제법의 진여실상(眞如實相)을 깨달은 큰 보살과 부처가 행하는 자비이므로 대자대비라고 한다.

자비의 정신은 자(慈)·비(悲)·희(喜)·사(捨)의 4가지 무량한 마음을 일으키는 사무량심(四無量心)으로도 표현되는데, '무량'은 무량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며 무량한 복을 가져온다는 의미가 있다. ① 자무량심 : 선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마음가짐으로 번뇌에 얽매여 괴로워하는 중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다. ② 비무량심 : 악한 중생을 보고 슬퍼하여 그들의 괴로움을 없애주려는 마음이다.

③ 희무량심 : 청정한 수행을 닦는 중생을 보고 기뻐하고 격려하는 마음으로 처음에는 친근한 사람에 대해 희무량심을 불러일으키고 점차로 다른 사람에게 널리 미치도록 한다. ④ 사무량심 :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보아 자타(自他)·애증(愛憎)·원친(怨親) 등의 모든 차별을 없앤 마음으로 처음에는 자신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로 친한 사람과 미운 사람에 대해 이 마음을 일으키도록 한다. 사무량심은 보살도를 행할 때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마음가짐으로 자비심(慈悲心)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대시킨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자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