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조선이 멸망한 BC 108년 한(漢)의 무제(武帝)에 의해 고조선의 옛 땅에 설치되었던 한사군의 하나.
위만조선 성립 이전에 이곳에 임둔국이 있었으므로 군명이 되었다. 임둔군은 설치된 지 25년 만인 BC 82년에 폐지되었고 그 영역은 현도군에 통합되었다.
BC 75년 현도군은 고구려족이 중심이 된 토착세력의 저항을 견디지 못하고 치소를 서북쪽의 흥경·노성 방면으로 옮기면서 낙랑군에 귀속되었다. 낙랑군은 옛 임둔군의 15현(縣) 가운데 통치력 행사가 가능한 영동(嶺東) 7현만을 관할하는 동부도위를 설치하고, 현재의 함흥 이북지역으로 비정되는 나머지 8현에 대해서는 지배를 포기했다. 〈한서〉 지리지에는 동이·불이·잠대(蠶臺)·화려·사두매·전막(前莫)·부조 등 영동 7현의 이름이 전한다.
이 가운데 부조는 뒤에 옥저로 성장하는 세력의 구심점이 되었으며, 동이·불이·화려 등은 동예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했다. 옥저가 일찍 고구려에 병합된 반면 동예의 불이·화려 등은 고구려와 낙랑군의 영향을 번갈아 받으면서도 국가로서의 성장을 시도하여 한때는 신라와 백제에 침입할 정도로 세력이 강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소국 단위의 분열상태를 극복하지 못하고 3세기 전반 이후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임둔군의 위치와 강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으나 대개 함경남도 및 강원도 일대로 비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학자는 임둔군에 경기도 일부까지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근래에는 임둔군의 위치를 랴오허 강[遼河] 유역에서 찾아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한사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