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206(희종 2) |
---|---|
사망 | 1289(충렬왕 15) |
본명 | 전견명 |
국적 | 고려, 한국 |
종교 | 불교 |
본관 | 천안(天安) |
요약 고려 충렬왕 때 <삼국유사>를 편찬한 고려의 승려. 본명은 전견명, 자는 회연, 호는 무극, 목암으로 최씨 무인정권과 밀접한 유대를 가지고 있던 정안의 초청으로 남해 정림사에 머물면서 남해분사에서의 작업에 참가하게 됐다. 원종 2년 명에 따라 선월사에 머물면서 지눌의 법맥을 계승했다. 중앙정계와 관련을 맺은 후 이를 배경으로 가지산문의 재건에 힘썼다. 충렬왕 3년 명에 따라 운문사에 머무르면서 <삼국유사>의 집필에 착수했다. 특정 신앙이나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불교신앙을 표방하는 저술을 찬술했으며, 선과 교를 막론하고 많은 불교 서적을 편수했다.
고려의 승려. 속성은 전(全), 이름은 견명(見明). 자는 회연(晦然), 호는 무극(無極)·목암(睦庵). 경주 장산군(章山郡 : 지금의 경산시) 출신으로, 아버지는 지방 향리 출신인 언필(彦弼)이다.
9세 때 해양(海陽 : 지금의 光州) 무량사(無量寺)에서 취학(就學)했으며, 14세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대웅장로(大雄長老)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1227년(고종 14) 선불장(選佛場)에 나아가 상상과(上上科)에 급제한 이후 포산(包山 : 경주 근처 현풍현 비슬산)의 보당암(寶幢庵)·무주암(無住庵)·묘문암(妙門庵) 등지에서 머물렀으며, 1237년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고 1246년 선사(禪師)가 되었다.
당시 정치적으로 최이(崔怡)가 정권을 담당하던 시기로 대몽항쟁기였는데, 일연은 포산에서 22년을 보내면서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않았다. 1249년 최씨 무인정권과 밀접한 유대를 가지고 있던 정안(鄭晏)의 초청으로 남해(南海) 정림사(定林社)에 머물게 되었다. 이는 일시적으로 최이에게 반발한 정안이 수선사(修禪社) 계통의 승려를 기피하여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일연을 초청한 것인데, 이로 인하여 가지산문의 승려들이 최씨 정권과 연결되어 1251년에 완성된 대장경 조판 중 남해분사(南海分司)에서의 작업에 참가하게 되었다.
1259년 대선사(大禪師)가 되었고, 1261년(원종 2) 원종의 명에 따라 강화도에 초청되어 선월사(禪月社)에 머물렀는데, 이때 지눌(知訥)의 법맥을 계승했다. 이는 그가 가지산문에서 사굴산문으로 법맥을 바꾼 것이 아니라 원종을 옹위한 정치세력이 불교계를 통솔하기 위해 일연을 이전의 수선사 계통의 승려를 대신한 계승자로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연은 중앙정계와 관련을 맺은 이후, 이를 배경으로 가지산문의 재건에 힘썼다. 1268년 왕명에 의해 운해사(雲海社)에서 대장낙성회(大藏落成會)를 주관하고, 1274년 비슬산 인홍사(仁弘社)를 중수한 후 왕의 사액에 따라 인흥사(仁興社)로 개명했으며, 같은 해 비슬산 용천사(湧泉寺)를 불일사(佛日社)로 개명했다.
1277년(충렬왕 3)부터 충렬왕의 명에 따라 운문사(雲門寺)에 머무르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집필에 착수했다. 1281년 충렬왕이 동정군(東征軍)을 격려하기 위하여 경주에 왔을 때 부름을 받고, 이 인연으로 다음해에 개경 광명사(廣明寺)에 머물게 되었다.
1283년 3월 국존(國尊)으로 책봉되고, 원경충조(圓經沖照)라는 호를 받았으나 노모의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1284년 인각사(麟角寺)에서 2회에 걸쳐 구산문도회(九山門徒會)를 열었는데, 이는 가지산문이 일연을 중심으로 고려 불교계의 전 교권을 장악한 것을 뜻한다. 1289년 7월 왕에게 올리는 글을 남기고 입적했다.
일연은 12세기 이후 고려 선종계에 유행한 임제선(臨濟禪)의 영향에 의해 간화선(看話禪)에 심취했으나, 남해 정림사에 초청을 받아 머물게 되면서 이미 기존의 임제종 계통의 간화선을 적극 수용하여 정리한 단계에 있던 수선사의 선풍(禪風)에 의해 더욱 세련된 간화선에 심취했다.
하지만 특정 신앙이나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불교신앙을 표방하는 저술을 찬술했으며, 선·교(禪敎)를 막론하고 많은 불교 서적을 편수했다. 그의 저술의 특징은 선종 계통이 주를 이루며, 사전(事典)의 성격을 지닌 저작이 많다는 것이다. 또 〈중편조동오위 重編曹洞五位〉에는 초기 성리학적 분위기와 서로 맥락이 닿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한편 〈삼국유사〉 찬술을 위해 1278년에 이미 〈역대연표〉를 작성하고, 이후 그의 나이 73~76세에 운문사에서 〈삼국유사〉를 찬술했다.
저서로는 〈어록 語錄〉 2권, 〈게송잡저 偈頌雜著〉 3권, 〈삼국유사〉 5권, 〈중편조동오위〉 2권, 〈조파도 祖派圖〉 2권, 〈조정사원 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 禪門頌事苑〉 30권, 〈대장수지록 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 諸乘法數〉 7권 등이 있다. 시호는 보각(普覺)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