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미국 인디애나 주, 화이트 강 연안 |
---|---|
인구 | 866,640명 (2020년 추계) |
면적 | 963.5㎢ |
언어 | 영어 |
대륙 | 북아메리카 |
국가 | 미국 |
요약 인디애나 주 중심부에 가까운 화이트 강변에 있다. 방사상 구조로 설계된 이 도시는 1825년에 주도가 되었다. 19세기 후반, 인근에서 풍부한 천연 가스가 공급되자 자동차 생산을 비롯한 새로운 산업이 유치되었다. 1911년 인디애나폴리스 자동차 경주도로에서 개최된 최초의 805㎞ 자동차경주대회에서는 이 지역에서 제작된 마몬 자동차가 우승했다. 이후 해마다 열리는 기념일 경기는 30여 만 명의 관중들이 운집하는 국제적인 행사가 되었다. 도로·철도·항공 교통의 중심지이며, 인근에 대규모 탄전과 소비시장이 있고 콘벨트의 중앙에 자리잡아 상업·금융·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제약·기계류·수송기기·전기제품을 주로 생산하며, 중요한 곡물시장이기도 하다. 시 중심부는 높이 87m의 육해군 기념비가 있는 기념비 지역이다.
주의 중심부 가까운 화이트 강변에 있다. 워싱턴 D. C.와 같이 방사상 구조로 설계된 이 도시는 1821년에 주도로 세워졌으며, 1825년 공식적으로 주도가 되었다.
1827년 시를 가로지르는 컴벌랜드(내셔널) 도로가 완성되고, 그후 철도가 연결되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 인근에서 풍부한 천연 가스가 공급되자 자동차 생산을 비롯한 새로운 산업이 유치되었다.
1911년 인디애나폴리스 자동차 경주도로(시의 초기 자동차 산업의 부산물로, 서쪽 교외에 있는 4㎞의 타원형 자동차 경기장)에서 개최된 최초의 805㎞ 자동차경주대회에서는 이 지역에서 만들어진 마몬 자동차가 우승했다. 그때 이후로 해마다 열리는 기념일(인디애나폴리스 500마일 경주) 경기는 30여 만 명의 관중들이 운집하는 유명한 국제적인 행사가 되었다. 자동차 경주 영예의 전당 박물관에는 1909년부터 사용된 경기용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다.
인디애나폴리스는 수운이 가능한 바다나 호숫가에 자리잡고 있지 않은 도시로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이며, 도로·철도·항공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러한 교통 편의시설과 인근에 대규모 탄전과 소비시장이 있고, 콘벨트(옥수수 지대)의 중앙에 자리잡아 상업·금융·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제약·기계류·수송기기·전기제품(전화기 포함)을 주로 생산하며, 선도적인 곡물시장이기도 하다.
교육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버틀러대학교(1855)·크리스천신학대학(1924)·인디애나센트럴대학교(1902)·인디애나직업기술대학(1963)·링컨공과대학(1926)·매리언대학(1851), 그리고 헤론 예술학교(1902)와 국제적으로 유명한 의료 센터를 갖고 있는 인디애나대학교, 퍼듀대학교의 인디애나 분교들이 있다.
시의 중심부는 높이 87m의 육해군 기념비가 있는 기념비 지역이며, 1927년에 전설된 세계대전 기념광장은 인디애나 주의 전사자들을 기념하는 5블럭 넓이의 지역으로 미국 재향군인회 전국 본부건물이 있다. 행위예술의 중심지인 클라우스 기념관(1963)은 인디애나폴리스 교향악단의 본부이기도 하다. 또한 현대적인 전통민속전시회장과 미술박물관이 있다. 주의회 의사당은 인디애나 석회석으로 만들어졌으며(1878~88), 중앙탑과 73m 높이의 둥근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4년 5월 실내운동경기와 특별행사를 위해 둥근 지붕형의 체육관이 중심가에서 문을 열었다. 미식축구 내셔널 리그의 한 팀인 볼티모어 콜츠 축구 팀이 1984년 인디애나폴리스로 옮겨왔다. 원형경기장을 포함해 70개 이상의 영구 건축물이 있는 인디애나 스테이트 페어그라운드는 통상과 사회적인 행사의 중심지이다.
북동쪽에 있는 벤저민 해리슨 요새는 대통령 해리슨의 이름을 딴 미국육군 부대 주둔지이며, 해리슨의 저택(1872년 보호구로 지정됨)이 이 시에 있다. 시인 제임스 윗콤 라일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시 부통령이었던 찰스 워런 페어뱅크스, 저술가인 부스 타킹턴이 이 도시에서 살았으며, 저술가 커트 보네것 또한 이곳 출신이다.
1970년 독특한 시-군 복합도시 행정체제인 연합정부(Uni-Gov)가 도입되었다. 1836년 읍, 1847년 시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