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인도차이나 전쟁

다른 표기 언어 Indochina wars

요약 20세기에 베트남라오스, 캄보디아에서 일어난 분쟁들.

초기에는 프랑스가(1946~54), 후기에는 미국이(1950년대~) 주로 개입했다. 흔히 프랑스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 또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도 한다. 베트남 전쟁은 1975년 4월에 끝났다.

19세기 후반 베트남은 점차적으로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프랑스는 베트남을 처음에는 식민지로(1883~1939), 그후에는 속령으로 통치했다(1930~45). 베트남인들의 지배권이 회복된 것은 1945년 9월 2일 호치민[胡志明]이 베트남의 독립을 선포한 이후이다. 프랑스가 베트남의 독립에 반대했기 때문에 호치민은 1946~54년에 게릴라들을 이끌고 프랑스와 싸웠다. 이것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이 전쟁은 1954년 5월 7일 디엔비엔푸에서 베트남인들의 승리로 끝났다.

호치민

ⓒ Palosirkka/wikipedia | Public Domain

1954년 7월 21일에 제네바에서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그 내용은 북위 17˚를 경계로 공산주의자가 지배하는 북쪽과 미국이 지원하는 남쪽으로 나뉘어 나라를 일시적으로 분단시키는 것이었다. 그후 남부 베트남에서 친공산주의 반란군들의 활동이 강화되자 미국이 개입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즉 베트남 전쟁(1965~75)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엄청난 파괴와 인명손실을 가져왔다. 1973년 1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고, 미군이 철수하기 시작한 후 짤막한 휴식기가 있었다. 그러나 얼마 안 가 전쟁이 재개되었다. 1975년 4월 30일 남부 베트남 정부는 무너지고 공산주의자들이 지배하는 정권으로 바뀌었다. 1976년 7월 2일 2개의 베트남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서 재통일되었다.

캄보디아는 1863년 이후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는데, 1953년 노로돔 시아누크 공의 지휘하에 독립을 쟁취했다. 시아누크는 베트남 전쟁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했으나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캄보디아 내지를 피신처로 활용하는 것을 은밀하게 허용했다. 그러나 1970년 3월 18일 그는 군부 내 우익분자들이 일으킨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1970년 5월 1일 캄보디아 - 베트남 국경선을 따라 존재하는 공산주의자들의 피신처를 없애기 위해 미군과 남부 베트남 군대가 캄보디아를 침략했다.

그당시 캄보디아의 새 지도자들은 크메르 루즈('붉은 크메르인들')라고 불리는 캄보디아 공산주의자들의 증대되는 위협에 직면하고 있었다. 크메르 루즈의 활동을 분쇄하기 위해서 미국은 1973년까지 캄보디아의 농촌지역들에 집중적인 폭탄투하 작전을 개시했다. 그러나 5년간의 내전 후 캄보디아의 수도인 프놈펜은 1975년 4월 17일 크메르 루즈의 수중에 들어갔다. 1979년 1월에 베트남군이 캄보디아를 침략했으며 곧바로 괴뢰정권을 세웠다.

라오스 역시 20세기 이후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는데 1949~54년에 몇 단계를 거쳐 독립을 달성했다. 독립 이후 우익과 중간분자들이 몇 번이나 교대로 정부 통제권을 장악했지만 1962년 수반나 푸마 공 주도하에 이들과 파데트 라오(라오 국)라고 불리는 라오스 공산주의자들 간에 연립정부가 수립되었다. 주변 지방들에 대한 통제를 놓고 공산주의자들과 비공산주의자들이 경쟁하는 동안에는 이 연립정부가 계속 유지되었다. 1975년 월남이 무너진 후 월맹인들의 지원을 받은 파데트 라오가 라오스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인도차이나 전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