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인도네시아와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인도네시아와 한국은 1973년 9월 수교를 맺고, 상주대사관을 설치했다. 양국은 G20과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의 회원국이며,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서 양국의 경제협력 증진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교역국 중 6위를 차지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한국의 건설업체들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여 각종 개발 공사에 참여해왔으며, 지금은 2,200여 한인기업이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국기

ⓒ argu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관계는 공식 수교를 맺기 전인 1966년 8월 영사관계를 수립하고 주자카르타 총영사관을 개설하면서 시작되었다. 1973년 9월 17일 수교합의와 함께 양국 수도에 상주대사관을 설치했다. 북한과는 이보다 앞선 1964년 4월 16일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1981년에는 한국의 전두환 대통령이, 1982년에는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대통령이 상대국을 방문해 양국의 우호관계를 재확인했다.

이후 1994년에는 김영삼 대통령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에 참여하기 위해 국빈 방문했으며, 2003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아세안+3(ASEAN+3,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3) 정상회의를 위해 발리에 방문했다. 2010년과 2011년, 2012년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유도요노 대통령이 발리 민주주의 포럼과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경제개발계획과 에너지 개발사업을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

양국은 모두 G20과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인도네시아는 한국의 앞선 경제발전을 모델로 삼고 있으며 특히 양국의 경제협력 증진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2006년 12월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했으며, 2017년 11월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한국은 인도네시아의 교역 대상국 중 6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주요 수출품은 경유, 휘발유, 편직물, 합성수지, 열연 및 냉연 강판이며 주요 수입품은 천연가스, 유연탄, 원유, 천연고무, 펄프 등이다. 양국의 수출입 규모는 2011년과 2012년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최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수출액은 81억 1,706만 달러이며, 수입액은 89억 6,635만 달러이다.

인도네시아와 한국은 1971년 8월 한국과의 경제 및 기술협력과 통상증진에 관한 협정을 시작으로 건설협력 양해각서(1981. 7), 임업협정(1987. 6), 항공협정(1989. 9), 투자보장협정(1991. 2), 대외경제협력기금협정(1997. 11), 사법공조협정(2002. 3), 원자력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정(2006. 12) 등을 체결해왔으며, 2006년과 2009년 사이에서는 한-아세안 FTA 상품협정과 서비스협정, 투자협정도 체결했다. 한편,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가 추진되었으나 결렬되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1970년부터는 한국의 건설업체들이 진출하여 공사를 수주하고 마두라 유전개발에 참여하는 등 민간차원에서도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기준 14개의 지역 한인회와 10여 곳의 한글학교가 있으며, 2,200여 개의 한인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25,153명이며,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국적의 등록외국인은 2023년 기준 42,653명 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인도네시아와 한국과의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