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농업과 광업에 바탕을 둔 개발도상국으로서 혼합경제체제를 갖추고 있다. 국민총생산은 인구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1인당 GNP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천연고무의 주요생산국으로서 고무가 주요수출품이며, 그밖에 커피·차·담배·코프라·향신료, 나무제품 등을 수출한다. 원료를 수출하여 공산품의 형태로 재수입하는 무역방식을 취하고 있다. 무역상대국은 일본이며 다음이 미국·싱가포르·네덜란드 순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제조업 부문은 확대되기 시작해 주요부문으로 자리잡았다. 자본재나 가공광물은 국영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지만 소비재는 주로 민간기업이 담당한다.
인도네시아는 주로 농업과 광업에 바탕을 둔 개발도상국으로서 혼합경제체제를 갖추고 있다. 국민총생산(GNP)은 1995년에 1,901억 500만 달러로 인구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1인당 GNP는 980달러로 낮은 편이다. 국내총생산(GDP)의 1/4을 차지하는 농업 부문에 총노동력의 절반 가량이 종사한다. 독자적인 소자작농들이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한편 중요한 농장지구가 있어 주로 수출용 농작물을 생산한다.
천연고무의 주요생산국으로서 고무가 주요수출품이며, 그밖에 커피·차·담배·코프라·향신료(클로브·육두구)·기름야자나무제품 등을 수출한다. 정부가 농장 현대화에 노력을 기울여 주요식량작물인 쌀의 산출량이 크게 늘어났다.
목재산업이 계속 성장하여 석유와 천연 가스와 함께 비중이 큰 수출품이 되었다. 그러나 급속한 개발사업으로 인도네시아의 광대한 우림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정부는 원목 수출에 대한 규제를 실시하여 산림의 무제한 개발에 제동을 걸고 있다. 광업 부문은 주로 수마트라와 칼리만탄을 중심으로 한 석유, 천연 가스 생산에 집중되어 있다.
모든 석유자원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소유이며, 외국 석유회사들은 개발 청부업자로서 필요한 기능인력과 자본을 대는 역할을 한다. 정유생산은 국영 정유회사인 페르타미나사(社)에서 담당하고 있다. 천연 가스, 특히 액화 천연 가스가 수출품목으로서 비중이 커지고 있어 생산시설이 확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주석 생산 우위국 중의 하나이며, 그밖에도 니켈·보크사이트·금·구리·철광석 등의 광물을 생산한다.
제조업 부문은 1980년대 중반부터 크게 확대되기 시작해 경제의 주요부문으로 자리잡았다. 자본재나 가공광물은 대부분 최대 규모의 국영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지만 소비재는 주로 민간기업이 담당한다. 주요 제조품으로는 화학제품, 전자부품, 시멘트, 고무 타이어, 종이, 섬유 등이 있다. 상업 부문은 중국인 공동체에 의해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정부의 경제 규제를 철폐하고 사기업을 신장시키기 위해 크게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는 원료를 수출하여 공산품의 형태로 재수입하는 무역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원유, 천연 가스, 목재, 의류, 고무 등이며 주요 수입품은 자본설비, 소비재, 식품 등이다. 인도네시아의 가장 중요한 무역상대국은 일본이며 다음이 미국·싱가포르·네덜란드 순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