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심부전

다른 표기 언어
심부전

ⓒ Robert Kneschke/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좌심실부전

좌심실이 가장 빈번히 심질환의 영향을 받으므로 심기능 상실로 인해 폐혈류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좌심실의 수축이 방해를 받으면 왼심장이 폐로부터 산소가 함유된 정상혈류를 수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역류에 의해 폐의 혈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폐의 모세혈관압이 증가하여 조직 내로 혈액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를 폐수종이라 하며 호흡장애의 원인이 된다(→ 폐순환).

폐수종

심장기능 상실에 의한 폐수종은 매우 심할 수 있으며 때로는 매우 치명적이다. 동맥고혈압이나 심장판막질환 등에 의해 폐수종이 일어나기도 한다. 말초부종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보통 좌심실부전과 동반된다.

우측심부전

폐성심부전·삼첨판질환 등과 같이 심장의 오른쪽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심질환은 호흡에는 영향이 없으나 정맥·간 등의 혈량을 증가시킨다.

초기 심부전

이 질환의 환자들은 심박동의 장애를 호소하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에서 모두 건강상실과 영양실조를 보인다. 그러나 조직의 기능을 상실시킬 만큼의 혈액 부족이나 부종은 보이지 않으며 운동시 호흡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심장 쇼크

대부분의 심기능 상실은 심장상해, 즉 심근경색 등의 발생 후에 나타난다. 어떤 경우에는 심장 쇼크가 유발되어 저혈압과 빠르고 약한 맥박,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때 부종이나 호흡장애가 동반되거나 또는 동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순환기계

순환기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심부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