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명나방과 |
---|---|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시아 |
먹이 | 갈대, 기장, 벼, 사탕수수 |
크기 | 약 2.2cm ~ 3.4cm |
학명 | Chilo suppressalis |
분포지역 | 한국, 일본, 대만, 인도~말레이시아, 남유럽, 하와이 |
요약 나비목 명나방과에 속하는 나방.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한국과 일본, 대만 등에 분포한다. 갈대와 기장, 벼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2.2~3.4cm 정도이다. 유충인 상태로 겨울을 나는 것이 특징이다.
개요
곤충강 나비목 명나방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학명은 ‘Chilo suppressalis’이다. 크기는 약 2.2~3.4cm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와 아시아로, 한국에서는 전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유충이 벼의 줄기 속을 파먹기 때문에 한해 농사를 방해하는 해충으로 분류된다.
형태
크기는 약 2.2~3.4cm이다. 머리·가슴은 황갈색, 배는 흰색이다. 앞날개는 황회색으로 외연에는 일곱 개의 검은 점이 줄지어 있으며, 뒷날개는 흰색이다. 알은 길이 약 1mm로 납작한 타원형이고, 표면은 교질로 덮여 있다.
생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이고, 주로 일본과 대만, 인도에서 말레이시아, 남유럽, 하와이, 중국, 필리핀, 자바 등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1년에 2회 발생하는데, 제1회 발생은 6월이고 제2회 발생은 8월이다. 추운 지방에서는 1년에 1회 발생한다.
먹이로는 갈대와 기장, 벼, 사탕수수 등이 있는데, 특히 벼의 주요해충으로 유충이 벼 줄기 속을 파먹어 벼의 잎이 마르고 부러지며 잎이 처져 물에 뜨기 때문에 농부들에게 골칫거리이다. 또 이삭이 나오지 못하고, 설사 나오더라도 흰 이삭이어서 열매를 맺지 못한다. 겨울은 유충 상태로 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