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조어사전

다른 표기 언어 李朝語辭典

요약 유창돈(劉昌惇)이 편찬한 고어사전.

1964년 연세대학교 출판부에서 간행했다. 1964년 초판 이후 1987년까지 7판이 인쇄되었으나 저자가 1966년 죽음에 따라 표제어나 예문 등의 내용 변화 없이 간행되고 있다.

본문과 부록(이두·참고도서약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의 범례에 따르면 표제어는 약 3만 2,000개, 문헌제시어는 약 6만 1,000개라고 한다.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나타내고자 했으나 활용형인 '고이미지(고기+이미지), 단노라(닿+노라)'나 활용할 때에 나타나는 음운의 탈락 현상에 의한 형태도 표제어로 보이고 있다. 이는 중세국어의 특성을 가시화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표제어 뒤에는 방점으로 나타나는 자료에 한해 표제어에만 방점을 제시하고 있다.

표제어의 품사나 언어적인 특성을 약호를 사용하여 붙여놓았고, 그뒤에 현대어역을 간단히 달아놓았다. 뒤이어 제시하고 있는 예문은 시대순이 아니라 'ㄱ ㄴ ㄷ……'순으로 제시했다.

이조어사전의 표제어는 'ㄱ ㄲ ㅺ ㅴ ㅲ ㄴ ㅥ ㅻ ㄷ ㅼ ㅵ ㅳ ㄹ ㅁ 이미지 ㅂ ㅃ ㅽ 이미지 ㅅ ㅆ ᆹ △ ㅇ ㆀ ㆁ ㆆ ㅈ ㅉ ㅾ ㅶ ㅊ ㅋ ㅌ ㅷ ㅍ ㅎ ㆅ'의 초성을 배열하고 중성은 '이미지 이미지 ㅏ ㅐ ㅏ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ㆉ ㅜ ㅝ ㅞ ㅟ ㅠ ㆌ ㅡ ㅢ ㅣ'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어두자음군의 표기에 대해서는 'ㅅ'이 순수히 된소리 표기를 위한 문자였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중성의 배열 순서도 '이미지'를 앞에다 두어 문자적인 측면을 염두에 두었음을 나타냈다.

부록에 붙인 이두는 이두의 독법에 따라 표제항을 삼아 'ㄱ ㄴ ㄷ……'순으로 배열하고 그에 대한 현대어역을 보인 것이다. 〈대명률직해〉와 같은 문장자료에서 찾은 것이 아니라, 〈유서필지〉·〈이두집성〉·〈나려이두〉·〈조선어사전〉 등의 자료에 보이는 이두를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예문은 보이지 않는다.

〈이조어사전〉은 〈어휘사연구〉·〈이조국어사연구〉와 함께 저자의 대표적인 저서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당시의 훈민정음 표기 자료 대부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조어사전〉에 앞서는 〈고어재료사전〉(방종현)·〈조선고어방언사전〉(정태진·김병제)·〈조선고어사전〉(정희준)·〈고어사전〉(유창돈)·〈조선옛말사전〉(이상춘)·〈고어사전〉(남광우) 등의 많은 사전이 있었지만, 내용과 양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앞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시까지 대할 수 있었던 이조어 관계 자료는 거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조선총독부에서 나온 〈조선어사전〉까지도 참고자료로 삼고 있다. 유창돈은 〈이조어사전〉을 펴내기 전에 1948년에 나온 정희준의 〈조선고어사전〉의 내용을 증보한 〈고어사전〉을 간행한 바 있는데 이는 〈이조어사전〉의 모태가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조어사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