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유원

다른 표기 언어 李裕元 동의어 경춘, 景春, 京春, 귤산, 橘山, 묵농, 默農, 충문, 忠文
요약 테이블
출생 1814(순조 14)
사망 1888(고종 25)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말기의 대신. 흥선대원군과 대립하여 좌의정에서 좌천되었으나, 대원군 실각 이후 영의정의 자리에 올랐다. 184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고 1845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좌의정에 올랐다 좌천되었으나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하고 고종이 친정을 시작하자 영의정이 되었다. 1879년 6월 일본공사 하나부사가 인천항과 원산항의 개항을 요구하자 원산항만 개항하게 했다. 1879년 8월 이홍장으로부터 조선의 위기 타개를 위해서는 서양과의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서양세력을 유입하여 일본과 러시아를 견제해야 한다는 권유 편지를 받았으나, 미국과의 수교권유를 거부했다. 1882년 7월 전권대신으로 하나부사와 임오군란으로 인한 피해 변상, 공사관 경비병 주둔권 부여를 핵심으로 하는 제물포조약을 체결·조인했다.

조선 말기의 관료. 본관은 경주. 자는 경춘, 호는 귤산·묵농. 아버지는 이조판서 계조이다.

1841년(헌종 7) 정시문과에 급제, 검열·대교를 거쳐 1845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고종초 함경도관찰사를 거쳐 좌의정이 되었으나, 1865년(고종 2) 수원유수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다시 영중추부사가 되었으며,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하고 고종이 친정을 시작하자 영의정이 되었다.

1874년 7월 우의정 박규수와 함께 일본에서 정한론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300년간 유지되었던 한일관계를 서계의 위격으로 국교를 단절할 수 없다고 국왕에게 상언하고, 도해역관을 쓰시마 섬[對馬島] 또는 일본 수도에 파견하여 외교교섭을 조사하도록 하여 대원군 때의 대일정책을 바꾸었다. 1875년 2월 일본의 외무대승 모리야마[森山茂]가 조선에 도착하여 서계를 제출하자 서계 내에 '대일본'·'황상'이란 용어가 있었으나 이를 수리하게 했다. 1875년 왕세자 척(拓:뒤의 순종)의 책봉을 청하기 위해 진주 겸 주청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9년 6월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가 인천항과 원산항의 개항을 요구하자 원산항만 개항하게 했다. 그해 7월 이홍장에게 병기제조와 군사훈련 등 무비자강 문제에 대한 자문과 지원을 밀서로 요청하여 톈진[天津]에서 군사훈련과 병기제조 법을 배우도록 해주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1879년 8월말 이홍장으로부터 조선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서양제국들과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서양세력을 유입하여 일본과 러시아를 견제해야 한다는 권유 편지를 받았으나, 미국과의 수교권유를 거부했다.

1880년 치사하고 봉조하가 되었다. 1882년 6월 임오군란으로 명성황후의 생사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대원군이 장례를 강행하자 극력 반대했다. 그해 7월 전권대신으로 일본 변리공사 하나부사와 임오군란으로 인한 피해 변상, 공사관 경비병 주둔권 부여를 핵심으로 하는 제물포조약을 체결·조인했다.

제물포 조약(濟物浦條約)

임오군란의 사후 처리를 위해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다. 조일강화조약(朝日講和條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TKostolany/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예서에 뛰어났다. 저서로 〈가오고략 嘉梧藁略〉·〈귤산문고 橘山文稿〉·〈임하필기 林下筆記〉 등이 있다. 시호는 충문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유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